자바 코딩테스트 강좌, 유니온 파인드

이번 글에서는 알고리즘 문제를 통해 유니온 파인드(Union-Find) 자료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이를 자바로 구현해보겠습니다. 특히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되는 유형의 문제를 선택하여
실제 코드를 작성해보는 과정을 진행하겠습니다.

유니온 파인드란?

유니온 파인드는 ‘서로소 집합(Disjoint Set)’을 관리하기 위한 자료 구조로, 주로 그래프에서 연결 요소를
찾거나 특정 두 원소가 같은 집합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 자료구조의 주요 연산은 두 가지입니다.

  • Find: 어떤 원소가 속한 집합을 찾는 연산입니다.
  • Union: 두 개의 집합을 합치는 연산입니다.

알고리즘 문제 설명

지금부터 해결해볼 문제는 연결 요소의 개수 구하기입니다. 주어진 n개의
정점과 m개의 간선이 있을 때, 연결 요소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연결 요소란,
그래프에서 서로 연결된 정점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그래프를 생각해 봅시다. 만약 정점이 5개이고 간선이 아래와 같다면,

            1 - 2
            |   |
            3 - 4
            5
        

여기서 연결 요소는 {1, 2, 3, 4}와 {5}로 두 개 있습니다.

문제 정의

        주어진 정점 n과 간선의 리스트 edges가 있을 때, 연결 요소의 개수를 출력하시오.

        입력: 
        n = 5
        edges = [[1, 2], [1, 3], [2, 4]]

        출력: 2
    

문제 풀이 접근

유니온 파인드를 사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각 노드를 방문하면서 해당 노드가 어떤 집합에
속하는지를 체크하고, 새로운 연결이 발견되면 이를 유니온 연산을 통해 집합에 통합합니다. 마지막에는
서로 다른 집합의 개수를 세어 연결 요소의 개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유니온 파인드 구현

유니온 파인드를 구현하기 위해 두 가지 함수를 정의할 것입니다. 하나는 find 함수는
특정 원소의 부모를 찾아주고, 다른 하나는 union 함수는 두 원소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자바 코드 구현

        public class UnionFind {
            private int[] parent;
            private int[] rank;

            public UnionFind(int n) {
                parent = new int[n + 1];
                rank = new int[n + 1];
                for (int i = 1; i <= n; i++) {
                    parent[i] = i;  // 각 노드의 부모를 자기 자신으로 초기화
                    rank[i] = 0;    // 초기 랭크는 0
                }
            }

            public int find(int x) {
                if (parent[x] != x) {
                    parent[x] = find(parent[x]);  // 경로 압축
                }
                return parent[x];
            }

            public void union(int x, int y) {
                int rootX = find(x);
                int rootY = find(y);
                if (rootX != rootY) {
                    if (rank[rootX] > rank[rootY]) {
                        parent[rootY] = rootX;
                    } else if (rank[rootX] < rank[rootY]) {
                        parent[rootX] = rootY;
                    } else {
                        parent[rootY] = rootX;
                        rank[rootX]++;
                    }
                }
            }

            public int countComponents(int n, int[][] edges) {
                // 간선으로 유니온 연산 시행
                for (int[] edge : edges) {
                    union(edge[0], edge[1]);
                }
                // 연결 요소의 개수 세기
                HashSet componentRoots = new HashSet<>();
                for (int i = 1; i <= n; i++) {
                    componentRoots.add(find(i));
                }
                return componentRoots.size();
            }
        }
    

메인 함수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nionFind uf = new UnionFind(5);
                int[][] edges = {{1, 2}, {1, 3}, {2, 4}};
                int result = uf.countComponents(5, edges);
                System.out.println("연결 요소의 개수: " + result);  // 출력: 2
            }
        }
    

코드 분석

위 코드는 UnionFind 클래스를 만들어 유니온 파인드 알고리즘을 구현하였습니다.
생성자에서는 각 노드의 초기 값과 랭크를 설정하고, findunion 함수를
구현했습니다. find는 경로 압축 기법을 이용해 시간 복잡도를 줄이고, union
방식으로 랭크를 사용하여 항상 균형을 유지하도록 했습니다.

결론

유니온 파인드는 그래프 문제에서 매우 유용한 자료 구조입니다. 앞서 제시한 연결 요소 개수 구하기
문제를 통해 유니온 파인드의 기초를 다질 수 있었길 바랍니다. 실제 코딩 테스트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출제될 수 있으므로 이 자료구조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입니다. 앞으로도 유니온 파인드를 활용한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며 더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해 실력을 쌓기를 바랍니다.

자바 코딩테스트 강좌, 위상 정렬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바를 이용한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등장하는 위상 정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상 정렬은 Directed Acyclic Graph(DAG)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 여러 개의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 간의 선후 관계를 고려하여 작업 순서를 결정하는데 매우 유용합니다.

1. 위상 정렬이란?

위상 정렬은 방향 그래프에서의 정점 순서를 나열하여 각 정점의 모든 선행 정점이 나열된 이후에 나오는 순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위상 정렬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 프로젝트 작업 중, 작업의 순서를 결정할 때 (예: 작업 A가 끝나야 작업 B를 시작할 수 있는 경우)
  • 학습 과정에서 수업의 순서를 결정할 때 (예: 선행 과목이 있어야 수강할 수 있는 경우)

2. 문제 설명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해 보겠습니다:

    
    

3. 위상 정렬 알고리즘

위상 정렬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진입 차수’를 활용하는 방법과 ‘DFS’ 기반의 방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진입 차수 기반의 위상 정렬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3.1. 진입 차수 기반 위상 정렬

진입 차수 기반의 위상 정렬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1. 그래프의 모든 정점의 진입 차수를 계산합니다.
  2. 진입 차수가 0인 정점을 큐에 넣습니다.
  3. 큐에서 정점을 하나씩 꺼내고, 해당 정점과 연결된 모든 정점의 진입 차수를 1 감소시킵니다.
  4. 진입 차수가 0이 된 정점은 큐에 추가합니다.
  5. 위 단계를 큐가 비어있지 않을 때까지 반복합니다.

4. 자바 코드 구현

위상 정렬 알고리즘을 Java로 구현해 보겠습니다. 아래는 문제 해결을 위한 Java 코드입니다.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TopologicalSor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anner.nextInt(); // 수업의 개수
        int M = scanner.nextInt(); // 관계의 개수

        List> graph = new ArrayList<>();
        int[] inDegree = new int[N + 1];
        
        for (int i = 0; i <= N; i++) {
            graph.add(new ArrayList<>());
        }
        
        // 그래프 입력 처리
        for (int i = 0; i < M; i++) {
            int A = scanner.nextInt();
            int B = scanner.nextInt();
            graph.get(A).add(B);
            inDegree[B]++;
        }
        
        // 진입 차수가 0인 노드를 큐에 담기
        Queue queue = new LinkedList<>();
        for (int i = 1; i <= N; i++) {
            if (inDegree[i] == 0) {
                queue.add(i);
            }
        }

        List result = new ArrayList<>();
        
        while (!queue.isEmpty()) {
            int current = queue.poll();
            result.add(current);
            for (int next : graph.get(current)) {
                inDegree[next]--; // 진입 차수 감소
                if (inDegree[next] == 0) {
                    queue.add(next);
                }
            }
        }
        
        // 순서가 결정되었는지 확인
        if (result.size() == N) {
            for (int i : result) {
                System.out.print(i + " ");
            }
        } else {
            System.out.println(0);
        }
        
        scanner.close();
    }
}
    

5. 코드 설명

위의 Java 코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1. 입력을 받기 위해 Scanner를 사용하며, 수업의 개수 N과 관계의 개수 M을 읽습니다.
  2. 그래프와 진입 차수를 저장할 배열을 초기화합니다. 각 수업에 대한 그래프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저장합니다.
  3. M개의 관계를 입력 받으며, 각 수업 간의 관계를 그래프에 추가하고 진입 차수를 업데이트 합니다.
  4. 진입 차수가 0인 노드를 큐에 추가하여 시작합니다.
  5. 큐에서 정점을 꺼내고, 해당 정점과 연결된 모든 다른 정점의 진입 차수를 1 감소시킵니다.
  6. 만약 이 과정에서 진입 차수가 0이 되는 정점이 있다면 큐에 추가합니다.
  7. 예외 상황을 처리하며, 최종적으로 가능한 순서대로 수업을 출력합니다.

6. 예제 테스트

아래와 같은 입력을 테스트해 보겠습니다:


5 4
1 2
1 3
2 4
3 4
    

이 예제는 5개의 수업과 4개의 관계를 항상 포함하기 때문에 적절히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출력은 수업을 들을 수 있는 가능한 순서입니다.

7. 시간 복잡도

위상 정렬의 시간 복잡도는 O(V + E)입니다. 여기서 V는 정점의 수(N)이고 E는 간선의 수(M)이므로 대규모 그래프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합니다.

8. 결론

오늘은 자바를 이용한 위상 정렬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알고리즘은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코딩 테스트에서도 자주 등장하니 꼭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위상 정렬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023 자바 코딩 테스트 강좌

자바 코딩테스트 강좌, 외판원의 순회 경로 짜기

안녕하세요, 이번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자바 코딩테스트에 자주 등장하는 문제 중 하나인 “외판원의 순회” 문제에 대해 깊이 있게 다뤄보겠습니다. 이 문제는 그래프 이론과 조합론의 기초를 다지는 데 매우 유용하며, 다양한 알고리즘 기법을 적용해 볼 수 있는 좋은 예시입니다.

문제 설명

외판원의 순회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습니다. 외판원은 주어진 도시들을 모두 방문하고 다시 출발 도시로 돌아오는 가장 짧은 경로를 찾는 문제입니다. 모든 도시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두 도시 사이의 거리가 주어집니다. 목표는 방문한 도시의 순회를 최소 비용으로 완수하는 것입니다.

입력

  • 도시에 대한 수 N (2 ≤ N ≤ 10)
  • N x N 크기의 비용 행렬 C를 입력 받습니다. C[i][j]는 i번째 도시에서 j번째 도시로 가는 비용입니다. 만약 도시 i에서 j로 갈 수 없는 경우 C[i][j]는 무한대입니다.

출력

모든 도시를 한 번씩 방문하고 처음 도시로 돌아오는 최소 비용을 출력합니다.

문제 분석

이 문제는 NP-hard 문제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완전 탐색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N이 최대 10으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동적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DP)을 활용한 비트마스크 기법으로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비트마스크를 사용하면 각 도시의 방문 여부를 비트로 표현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모든 경로에 대한 최소 비용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 설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비트마스크를 사용하여 각 도시의 방문 상태를 나타냅니다.
  2. 재귀적인 방법으로 모든 가능한 경로를 탐색하면서 최소 경로를 계산합니다.
  3. 이미 계산한 최소 비용을 저장하여 중복 계산을 피하는 메모이제이션을 사용합니다.

주요 변수

  • N: 도시의 수
  • C[][]: 비용 행렬
  • cache: 메모이제이션을 위한 배열
  • allVisited: 모든 도시를 방문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비트마스크
  • start: 출발 도시

자바 코드 구현

아래의 코드는 주어진 알고리즘에 따라 외판원의 순회를 구현한 것입니다. 코드를 통해 각 단계가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import java.util.Arrays;

public class TravelingSalesman {
    
    static int N; // 도시간의 수
    static int[][] C; // 비용 행렬
    static int[][] cache; // 메모이제이션을 위한 배열
    static final int INF = Integer.MAX_VALUE; // 무한대 값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예: 도시의 수 N = 4
        N = 4; 
        C = new int[][]{
            {0, 10, 15, 20},
            {5, 0, 9, 10},
            {6, 13, 0, 12},
            {8, 8, 9, 0}
        };

        // 메모이제이션 배열 초기화
        cache = new int[1 << N][N];
        for (int i = 0; i < (1 << N); i++) {
            Arrays.fill(cache[i], -1);
        }

        int result = tsp(1, 0); // 모든 도시를 방문한 상태에서 시작 도시 0
        System.out.println("최소 비용: " + result);
    }

    static int tsp(int visited, int pos) {
        // 기저 조건: 모든 도시를 방문한 경우
        if (visited == (1 << N) - 1) {
            return C[pos][0] == 0 ? INF : C[pos][0]; // 시작 도시로 돌아가는 비용
        }

        // 이미 계산된 경우
        if (cache[visited][pos] != -1) {
            return cache[visited][pos];
        }

        int answer = INF;

        // 모든 도시를 검사
        for (int city = 0; city < N; city++) {
            // 방문하지 않은 도시인 경우
            if ((visited & (1 << city)) == 0 && C[pos][city] != 0) {
                int newVisited = visited | (1 << city);
                int newCost = C[pos][city] + tsp(newVisited, city);
                answer = Math.min(answer, newCost);
            }
        }

        return cache[visited][pos] = answer; // 최소 비용을 저장
    }
}

코드 설명

  1. 메인 메소드: 예제로 도시 수와 비용 행렬을 초기화하고, TSP 함수를 호출하여 결과를 출력합니다.
  2. tsp 메소드: 비트마스크와 현재 도시 정보를 바탕으로 재귀적으로 최소 비용을 계산합니다.
  3. 기저 조건: 모든 도시를 방문한 경우, 출발 도시로 돌아가는 비용을 리턴합니다.
  4. 메모이제이션: 이미 계산된 상태는 cache 배열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 재사용하여 효율성을 높입니다.

결과

위의 코드는 주어진 도시와 비용 행렬에 대해 최소 비용을 계산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출력값은 모든 도시를 방문하고 다시 시작 도시로 돌아오는 최소 비용입니다. 이 코드를 활용해 자신만의 비용 행렬을 입력해 보고 결과를 확인하면서 알고리즘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마무리

이번 강좌를 통해 외판원의 순회 문제를 동적 프로그래밍과 비트마스크를 활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 문제는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등장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적인 알고리즘 기법을 익히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른 알고리즘 문제와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문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해결 방법을 시도해 보며 스스로 알고리즘 능력을 향상시키시기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또 다른 문제를 다룰 예정이니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질문이나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자바 코딩테스트 강좌, 원하는 정수 찾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바 알고리즘 문제 중 하나인 “원하는 정수 찾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문제는 다양한 상황에서 응용될 수 있는 기본적인 탐색 알고리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여러분의 코딩 실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이 글이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문제 설명

주어진 정수 배열 nums와 찾고자 하는 정수 target가 있을 때, 배열에서 target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존재한다면 해당 수의 인덱스를 반환하는 문제입니다. 만약 존재하지 않는다면 -1을 반환해야 합니다.

입력

  • nums: 정수 배열 (예: [2, 7, 11, 15])
  • target: 찾고자 하는 정수 (예: 9)

출력

  • 정수 배열에서 target의 인덱스, 존재하지 않을 경우 -1

예시

입력: nums = [2, 7, 11, 15], target = 9
출력: 0
입력: nums = [1, 2, 3, 4, 5], target = 6
출력: -1

문제 해결 접근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배열을 순회하여 target 요소를 찾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시간복잡도가 O(n)이고, 또한 요소가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Binary Search(이진 탐색)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배열이 정렬되어 있다면 어떻게 할까요? 이때는 이진 탐색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진 탐색 개념

이진 탐색은 정렬된 배열에서 원하는 값을 찾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입니다. 다음은 이진 탐색의 기본 과정입니다:

  1. 배열의 중간 인덱스를 계산합니다.
  2. 중간 값이 target이면 해당 인덱스를 반환합니다.
  3. target이 중간 값보다 작으면 배열의 왼쪽 절반을 탐색하고, 크면 오른쪽 절반을 탐색합니다.
  4.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자바 구현

이제 자바로 이진 탐색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아래는 해당 알고리즘을 코드로 나타낸 것입니다.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int search(int[] nums, int target) {
            int left = 0;
            int right = nums.length - 1;

            while (left <= right) {
                int mid = left + (right - left) / 2;

                if (nums[mid] == target) {
                    return mid; // target을 찾음
                } else if (nums[mid] < target) {
                    left = mid + 1; // 오른쪽 절반을 탐색
                } else {
                    right = mid - 1; // 왼쪽 절반을 탐색
                }
            }
            return -1; // 찾지 못함
        }
    }
    

코드 설명

위의 코드에서 search 메서드는 두 개의 인자를 받습니다: nums 배열과 target입니다. 메서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합니다:

  • leftright 변수를 사용해 탐색할 범위를 관리합니다.
  • 메인 루프에서는 leftright보다 작거나 같은 동안 계속 탐색합니다.
  • 중간 인덱스 mid를 계산하고, 중간 값이 target과 같으면 해당 인덱스를 반환합니다.
  • 중간 값이 target보다 작으면 왼쪽 범위를 조정하고, 더 크면 오른쪽 범위를 조정합니다.
  • 모든 탐색이 끝나도 target을 찾지 못하면 -1을 반환합니다.

복잡도 분석

이진 탐색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log n)입니다. 이는 배열의 크기가 두 배로 증가할 때마다 탐색해야 할 구간이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이 알고리즘은 매우 빠르며, 특히 큰 배열에서 그 효율성이 두드러집니다. 공간 복잡도는 O(1)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결론

이번 글에서는 원하는 정수를 찾는 자바 알고리즘 문제를 다루었습니다. 이 문제를 통해 배열 탐색의 기초인 이진 탐색을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이진 탐색은 코딩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되는 주제이므로, 충분히 연습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다양한 케이스에 대해 자신만의 코드를 작성해볼까요?

마지막으로, 여러분의 코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문제를 더 풀어보는 것을 잊지 마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자바 코딩테스트 강좌, 오큰수 구하기

코딩테스트에서 주어진 배열의 다음 큰 수(오큰수)를 찾는 문제는 자주 출제되는 알고리즘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오큰수를 찾는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 및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설명하겠습니다. 또한 자바로 구현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며, 구현 후에는 시간 복잡도 및 공간 복잡도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입니다.

문제 정의

주어진 정수 배열에서 각 원소에 대해 그 원소보다 큰 수 중에 가장 먼저 나오는 수를 ‘오큰수’라고 정의합니다. 만약 오큰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원소에는 -1을 배치해야 합니다.

문제 예시

입력: [2, 1, 3, 2, 5]
출력: [3, 3, 5, 5, -1]

문제 분석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은 이중 반복문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시간 복잡도가 O(N^2)으로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더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효율적인 접근 방법: 스택을 활용한 O(N) 해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택 자료구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스택을 사용한 오큰수 구하기 알고리즘의 주요 아이디어입니다:

알고리즘 설명

  1. 주어진 배열의 길이만큼 결과 배열을 초기화합니다.
  2. 스택을 초기화합니다. 스택에는 배열의 인덱스가 저장됩니다.
  3. 배열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회합니다.
  4. 스택의 최상단에 있는 값(인덱스)을 확인합니다. 현재 원소가 그 인덱스의 원소보다 클 경우:
    • 오큰수는 현재 원소입니다.
    • 결과 배열에 해당 값을 저장합니다.
    • 스택에서 해당 인덱스를 Pop합니다.
  5. 현재 인덱스를 스택에 Push합니다.
  6. 모든 원소에 대해 반복이 끝나면, 스택에 남아있는 인덱스는 오큰수가 없는 경우이므로 결과 배열에 -1을 설정합니다.

자바 구현

이제 위 알고리즘을 자바로 구현해보겠습니다.

import java.util.Stack;

public class NextGreaterElement {
    public static int[] findNextGreaterElements(int[] nums) {
        int n = nums.length;
        int[] result = new int[n];
        Stack stack = new Stack<>();

        for (int i = 0; i < n; i++) {
            while (!stack.isEmpty() && nums[stack.peek()] < nums[i]) {
                result[stack.pop()] = nums[i];
            }
            stack.push(i);
        }

        // 스택에 남은 인덱스는 오큰수가 없는 경우, -1로 설정
        while (!stack.isEmpty()) {
            result[stack.pop()] = -1;
        }

        return resul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s = {2, 1, 3, 2, 5};
        int[] result = findNextGreaterElements(nums);
        
        System.out.print("결과: [");
        for (int i = 0; i < result.length; i++) {
            System.out.print(result[i]);
            if (i < result.length - 1) {
                System.out.print(", ");
            }
        }
        System.out.println("]");
    }
}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

위에서 구현한 알고리즘은 시간 복잡도 O(N)입니다. 각 원소를 최대 한 번만 스택에 Push하고 Pop하기 때문입니다. 공간 복잡도는 스택을 최대 N만큼 사용할 수 있으므로 O(N)입니다.

결론

오큰수를 찾는 문제는 스택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알고리즘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코딩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되는 주제 중 하나이므로, 스택의 사용법 및 문제 해결 방법을 숙지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예제를 통해 연습하여 문제 풀이 능력을 향상시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