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슬라이딩 윈도우

코딩 면접에서 자주 등장하는 문제 유형 중 하나가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입니다. 이 기법은 배열에서 부분 집합을 활용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연속된 원소의 합이나 최대값, 최소값 등을 구할 때 뛰어난 성능을 자랑합니다. 이 글에서는 슬라이딩 윈도우의 기본 개념과 함께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문제 소개

문제: 최대 길이의 서브배열

주어진 정수 배열 nums와 정수 k가 있습니다. nums 배열에서 연속된 원소들의 합이 k 이하인 최대 길이의 부분 배열의 길이를 구하시오. 만약 그러한 배열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0을 반환합니다.

예시

    입력: nums = [1, 2, 3, 4, 5], k = 5
    출력: 2
    설명: [2, 3] 또는 [1, 2]의 길이가 최대 2입니다.
    

문제 접근 방법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을 사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배열을 순회하면서 두 포인터(시작점과 끝점)를 사용하여 윈도우의 크기를 조정합니다. 필요한 경우 윈도우의 크기를 조정하면서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가장 긴 부분 배열을 찾습니다.

문제 풀이 과정

1단계: 포인터 초기화

먼저 시작 포인터 start와 끝 포인터 end를 초기화합니다. 시작 포인터는 0, 끝 포인터는 0으로 설정합니다. 배열의 합을 기록할 변수 sum도 초기화합니다.

2단계: 반복문으로 윈도우 확장

끝 포인터 end를 배열의 끝까지 이동시키며 윈도우를 확장합니다. 현재 원소를 sum에 더하고, sumk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시작 포인터 start를 이동시켜 sumk 이하가 되도록 조정합니다.

3단계: 최대 길이 업데이트

각 윈도우가 k 이하일 때, 현재 길이를 계산하여 최대 길이 변수에 저장합니다.

4단계: 결과 반환

모든 과정을 마친 후 최대 길이를 반환합니다.

코틀린 구현


fun maxLengthSubArray(nums: IntArray, k: Int): Int {
    var start = 0
    var end = 0
    var sum = 0
    var maxLength = 0

    while (end < nums.size) {
        sum += nums[end]

        while (sum > k && start <= end) {
            sum -= nums[start]
            start++
        }

        maxLength = Math.max(maxLength, end - start + 1)
        end++
    }

    return maxLength
}

결과 확인

코드를 실행하여 문제를 해결한 후,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로 결과를 검증합니다.


fun main() {
    println(maxLengthSubArray(intArrayOf(1, 2, 3, 4, 5), 5)) // 출력: 2
    println(maxLengthSubArray(intArrayOf(1, 2, 3, 4, 5), 11)) // 출력: 5
    println(maxLengthSubArray(intArrayOf(5, 4, 3, 2, 1), 3)) // 출력: 1
    println(maxLengthSubArray(intArrayOf(1, 2, 3, 4, 5), 0)) // 출력: 0
}

맺음말

이번 강좌에서는 슬라이딩 윈도우를 이용하여 최대 길이의 서브배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다뤄보았습니다.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은 배열이나 문자열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다양한 문제를 통해 이 기법을 연습해 보세요.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스택으로 오름차순 수열 만들기

문제 설명

주어진 정수 n과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수열이 있습니다. 당신의 임무는 스택을 이용하여
주어진 수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스택의 특성인 LIFO(Last In, First Out)를 이용해 수열을
처리해야 하며, 스택에 들어갈 최대 개수는 n입니다.

입력 형식

  • 첫 줄에 정수 n (1 ≤ n ≤ 100,000)이 주어집니다.
  • 둘째 줄에 n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지며 (1 ≤ 각 수 ≤ 1,000,000), 수열은 중복될 수 있습니다.

출력 형식

오름차순으로 수열을 정렬하는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택 연산의 과정(푸시, 팝)을 출력합니다.
스택으로 수열을 정렬할 수 없으면 “NO”를 출력해야 합니다.

예제 입력

    5
    4 3 6 8 5
    

예제 출력

    PUSH 4
    PUSH 3
    POP 3
    PUSH 6
    POP 6
    PUSH 5
    POP 5
    POP 4
    

문제 풀이

이 문제는 스택을 활용하여 입력된 수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방법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단계로 접근해보겠습니다.

알고리즘 설계

1. **입력 처리**: 정수 n과 수열을 입력으로 받습니다.
2. **스택 및 출력 리스트 초기화**: 수열을 저장할 리스트, 스택을 초기화합니다.
3. **타겟 값 초기화**: 현재 오름차순에서 나와야 할 다음 타겟 값을 1로 설정합니다.
4. **수열 순회**: 입력된 수열을 순회하며,
– 만약 현재 수가 타겟 값과 같으면 팝 연산을 수행합니다.
– 타겟 값과 다르면 스택에 푸시합니다.
5. **스택 비우기**: 스택에 값이 남아있다면, 이를 팝하여 출력합니다.
6. **출력**: 최종적으로 정렬된 수열을 보여주거나 “NO”를 출력합니다.

코딩 구현

위의 알고리즘을 코틀린으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un main() {
    val n = readLine()!!.toInt()
    val sequence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val stack = mutableListOf()
    val output = mutableListOf()
    var current = 1
    var index = 0

    while (current <= n) {
        while (index < n && (stack.isEmpty() || stack.last() != current)) {
            stack.add(sequence[index++])
            output.add("PUSH ${stack.last()}")
        }
        if (stack.isNotEmpty() && stack.last() == current) {
            stack.removeAt(stack.size - 1)
            output.add("POP $current")
        } else {
            println("NO")
            return
        }
        current++
    }

    output.forEach { println(it) }
}

주요 고려 사항

이 문제를 푸는 데에 몇 가지 중요한 고려 사항이 있습니다. 우선 스택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코드로 구현해야 하며, 특정 상황에서 스택을 잘 활용해야 합니다. 또한,
입력된 수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보장할 수 있는 로직이 필요합니다.
스택의 최대 크기는 n이므로 O(n) 공간 복잡도가 허용됩니다.

결론

이번 강좌에서는 스택을 활용하여 오름차순 수열을 만드는 문제를 다뤘습니다. 기본적인 스택
동작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실제 코드 구현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스택이라는 자료구조는 많은 알고리즘 문제에서
다루어지므로, 이 문제를 통해 스택의 활용법을 익혀보길 바랍니다.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숫자의 합 구하기

코딩테스트는 현대의 채용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알고리즘 문제 풀이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코틀린을 이용해 주어진 숫자의 합을 구하는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문제 설명

주어진 정수 N개가 있습니다. 이때, N개의 정수를 입력받아 이들의 합계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형식:
첫째 줄에 정수 N(1 ≤ N ≤ 1000)이 주어집니다.
둘째 줄에는 N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집니다. 각 정수는 -1000 이상 1000 이하의 정수입니다.

출력 형식:
입력으로 주어진 N개의 정수의 합을 출력합니다.

문제 예시

입력:
5
1 2 3 4 5
출력:
15

문제 접근 방법

이 문제는 배열에 주어진 정수들을 저장한 다음, 이들의 합계를 구하는 매우 기본적인 문제입니다. 코틀린에서는 리스트와 다양한 컬렉션을 쉽게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입력으로 주어진 두 줄의 데이터를 읽는다.
  2. 첫 번째 줄에서 정수 N을 읽어온다.
  3. 두 번째 줄에서 N개의 정수를 읽어와 리스트에 저장한다.
  4. 리스트의 모든 값을 더하여 합계를 구한다.
  5. 합계를 출력한다.

코틀린 구현

이제 위의 방법을 바탕으로 코틀린으로 구현해 보겠습니다. 아래는 구현된 코드입니다:

        
        import java.util.Scanner

        fun main() {
            val scanner = Scanner(System.`in`)
            
            // 첫 번째 줄에서 N 입력받기
            val N = scanner.nextInt()
            var sum = 0
            
            // 두 번째 줄에서 N개의 숫자 입력받기
            for (i in 0 until N) {
                sum += scanner.nextInt()
            }
            
            // 합계 출력
            println(sum)
        }
        
    

코드 설명

위 코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동작합니다:

  • Scanner를 사용하여 입력을 받는다: Scanner는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N을 입력받는다: 첫 번째 줄에서 입력되는 정수 N을 읽습니다.
  • for 루프를 사용하여 숫자를 입력받고 더한다: N번의 반복문을 통해 각 정수를 입력받아 sum에 더합니다.
  • 결과 출력: 최종 합계를 출력합니다.

코드 테스트

작성한 코드를 테스트하기 위해 다양한 입력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입력:
        3
        10 -5 2
        
    

위의 입력을 주었을 때,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은 출력을 보여줍니다:

        
        출력:
        7
        
    

결론

이번 강좌에서는 코틀린을 사용하여 간단한 숫자의 합구하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워보았습니다. 기본적인 알고리즘과 코틀린의 문법을 잘 활용하면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문제는 코딩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되는 기본적인 문제입니다. 다양한 데이터를 처리해보며 자신의 코딩 실력을 향상시켜 보시기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는 좀 더 복잡한 문제들을 다룰 예정이니 기대해 주세요!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스택과 큐

1. 서론

코딩테스트는 현대 프로그래밍 직업을 찾기 위한 중요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기술이 발전하고 데이터 구조와 알고리즘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이러한 기술들은 프로그래머로서의 역량을 평가하는 주요한 기준이 되었습니다. 이 강좌에서는 코틀린을 사용하여 스택(Stack)과 큐(Queue)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해 보겠습니다.

2. 스택과 큐의 기본 개념

2.1. 스택(Stack)

스택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 중 하나로,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즉, 가장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가는 구조입니다. 스택은 주로 함수 호출 스택, 브라우저의 뒤로 가기 버튼, 그리고 문자열의 괄호 검증 알고리즘 등에서 사용됩니다.

2.2. 큐(Queue)

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또 다른 자료구조로,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즉, 가장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가는 구조입니다. 큐는 주로 프린터 작업 관리, 프로세스 스케줄링, 그리고 너비 우선 탐색(BFS) 알고리즘에서 사용됩니다.

3. 문제 설명

이제 스택과 큐 를 활용한 문제를 해결해 보겠습니다. 다음 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

문제: 괄호 유효성 검사

주어진 문자열이 올바른 괄호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판단하는 함수를 작성하세요. 올바른 괄호란, 모든 열린 괄호가 반드시 닫히고, 모든 닫힌 괄호가 그에 대응하는 열린 괄호와 쌍을 이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문자열 “{[()]}“는 올바르지만 “{[(])}“는 올바르지 않습니다.

4. 문제 분석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 절차를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1. 문자열을 순회하면서 열린 괄호를 스택에 저장합니다.
  2. 닫힌 괄호를 만났을 때 스택에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열린 괄호와 쌍을 이루는지 확인합니다.
  3. 모든 문자를 처리한 후에도 스택이 비어 있지 않다면, 문자열은 유효하지 않습니다.

5. 알고리즘 설계

따라서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1. 스택을 초기화합니다.
  2. 문자열의 각 문자를 순회합니다.
  3. 문자열의 각 문자가 열린 괄호인 경우, 스택에 추가합니다.
  4. 닫힌 괄호인 경우, 스택에서 값을 꺼내어 매칭되는 열린 괄호인지 확인합니다.
  5. 스택이 비어있지 않다면, 문자열은 유효하지 않으며 false를 반환합니다.
  6. 문자를 모두 처리한 후 스택이 비어 있다면 true를 반환합니다.

6. 코틀린 구현

위에서 설명한 알고리즘을 코틀린으로 구현해 보겠습니다.

fun isValidParentheses(s: String): Boolean {
    val stack = mutableListOf()
    val mapping = mapOf('(' to ')', '{' to '}', '[' to ']')

    for (char in s) {
        if (mapping.containsKey(char)) {
            stack.add(char)
        } else if (stack.isNotEmpty() && mapping[stack.last()] == char) {
            stack.removeAt(stack.size - 1)
        } else {
            return false
        }
    }
    return stack.isEmpty()
}

7. 코드 설명

코드의 각 부분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val stack = mutableListOf(): 스택을 초기화합니다.
  • val mapping = mapOf('(' to ')', '{' to '}', '[' to ']'): 열린 괄호와 닫힌 괄호의 매핑을 저장합니다.
  • for (char in s): 문자열의 각 문자를 순회합니다.
  • if (mapping.containsKey(char)): 열린 괄호인 경우 스택에 추가합니다.
  • else if (stack.isNotEmpty() && mapping[stack.last()] == char): 닫힌 괄호라면 매칭되는 열린 괄호가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지 확인하고, 매칭된다면 스택에서 제거합니다.
  • 문자열 처리 후 스택이 비어 있으면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8. 복잡도 분석

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n)입니다. n은 문자열의 길이입니다. 왜냐하면 각 문자를 한 번만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공간 복잡도는 O(n)으로, 이는 최악의 경우 스택에 모든 열린 괄호가 저장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9. 테스트 케이스

다음과 같은 테스트 케이스를 사용하여 구현이 올바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fun main() {
    println(isValidParentheses("{[()]}")) // true
    println(isValidParentheses("{[(])}")) // false
    println(isValidParentheses("{{[[(())]]}}")) // true
    println(isValidParentheses("{")) // false
    println(isValidParentheses("}")) // false
}

10. 결론

이번 강좌에서는 스택과 큐의 기본 개념과 함께, 스택을 이용한 괄호 유효성 검증 문제를 해결해 보았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되는 문제 유형 중 하나이므로, 충분한 연습을 통해 스택과 큐의 사용에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11. 참고 자료

  • LeetCode: Valid Parentheses
  • GeeksforGeeks: Stack Data Structure
  • Wikipedia: Stack (abstract data type)

이제 독자 여러분도 코틀린을 사용하여 스택과 큐의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시기 바랍니다.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순열의 순서 구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틀린을 사용하여 순열의 순서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코딩 테스트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순열과 조합에 대한 이해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문제 설명

주어진 수열의 두 번째 인덱스부터 첫 번째 인덱스까지의 순열에서, 특정한 순열이 몇 번째 순서에 있는지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여기서 수열의 요소들은 1부터 N까지의 정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복은 없습니다. 예를 들어, 수열이 [1, 2, 3]일 때 모든 순열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2, 3
  • 1, 3, 2
  • 2, 1, 3
  • 2, 3, 1
  • 3, 1, 2
  • 3, 2, 1

위의 예에서 [2, 1, 3]는 3번째 순서입니다. 이런 식으로 순서 번호를 출력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입력 형식


N (1 ≤ N ≤ 20)
P (N개의 정수, 1부터 N까지의 중복 없는 수)

출력 형식


주어진 순열 P가 몇 번째 순서인지 출력한다.

문제 풀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모든 가능한 순열을 생성합니다.
  2. 생성된 순열 목록에서 입력으로 주어진 순열을 찾습니다.
  3. 해당 순열의 인덱스(1부터 시작)를 출력합니다.

코틀린 구현

이제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먼저 Kotlin의 permutations 함수를 사용하여 모든 순열을 생성한 다음, 입력으로 받은 순열의 인덱스를 찾습니다.


import kotlin.math.*

fun  List.permutations(): List> {
    if (isEmpty()) return listOf(emptyList())
    val result = mutableListOf>()
    for (i in indices) {
        val item = this[i]
        val remaining = this.filterIndexed { index, _ -> index != i }
        for (permutation in remaining.permutations()) {
            result.add(listOf(item) + permutation)
        }
    }
    return result
}

fun main() {
    val n = 3
    val sequence = listOf(2, 1, 3)

    val totalNumbers = (1..n).toList()
    val allPermutations = totalNumbers.permutations()

    val index = allPermutations.indexOf(sequence) + 1 //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므로 +1
    println("순열 $sequence는 ${index}번째 순서입니다.")
}

코드 설명

위의 코드에서 주요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permutations 함수는 재귀적으로 모든 순열을 생성하여 리스트로 반환합니다.
  • main 함수에서는 N과 주어진 순열을 정의하고, permutations를 호출하여 모든 가능한 순열을 생성합니다.
  • 마지막으로 indexOf를 사용하여 주어진 순열의 인덱스를 찾아 출력합니다.

성능 고려 사항

N이 20인 경우 가능한 순열의 수는 20!에 해당합니다. 이는 약 2.4억 가지의 경우입니다. 따라서 N이 20에 이르게 되면 메모리와 실행 속도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큰 입력에 대해서는 다른 접근 방법(예: 순열의 수학적 성질)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래도 수가 작을 경우에는 해당 방법이 잘 작동합니다.

결론

이번 강좌에서는 순열의 순서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코틀린의 기능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보여주었으며, 알고리즘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여러 가지 고려사항을 설명했습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알고리즘 문제를 다루어 나가며, 다양한 접근 방식을 익혀봅시다!

이 강좌가 도움이 되셨다면 좋겠습니다! 질문이나 더 알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