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오일러 피 함수 구현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이썬으로 오일러 피 함수(Euler’s Totient Function)를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오일러 피 함수의 정의와 성질을 살펴보고,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단계적으로 설명할 것입니다.

1. 오일러 피 함수란?

오일러 피 함수 φ(n)은 1과 n 사이의 정수 중에서 n과 서로소인 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함수입니다. 즉, φ(n)은 n과 공약수를 가지지 않는 수의 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 φ(1) = 1 (1은 자신만과 서로소)
  • φ(2) = 1 (1만이 2와 서로소)
  • φ(3) = 2 (1, 2가 3과 서로소)
  • φ(4) = 2 (1, 3이 4와 서로소)
  • φ(5) = 4 (1, 2, 3, 4가 5와 서로소)

2. 오일러 피 함수의 성질

오일러 피 함수는 몇 가지 중요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 만약 n이 소수 p라면, φ(p) = p – 1
  • 만약 n이 소수의 거듭제곱 p^k라면, φ(p^k) = p^k(1 – (1/p))
  • n이 두 정수 a와 b의 곱이라면, φ(ab) = φ(a) * φ(b) * (1 – (1/gcd(a,b)))

2.1 예시

주어진 수 n의 오일러 피 함수 값 φ(n)을 구해야 한다면, n의 소인수를 찾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n = 12이 주어진 경우, 소인수는 2와 3이며, 이 두 소수에 대한 φ 값을 사용하여 φ(12)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3. 오일러 피 함수 구현 방법

지금부터 φ(n)을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인 접근 방식은 각각의 수를 확인해서 서로소인 수의 개수를 세는 것인데, 이는 비효율적이므로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3.1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방식

오일러 피 함수를 효율적으로 구현하는 방법 중 하나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Sieve of Eratosthenes)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φ(n)을 계산하는 로직입니다:

def euler_totient(n):
    # 1부터 n까지의 페어 배열 초기화
    phi = list(range(n + 1))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사용하여 오일러 피 함수 값 계산
    for i in range(2, n + 1):
        if phi[i] == i:  # i가 소수일 경우
            for j in range(i, n + 1, i):
                phi[j] *= (i - 1)
                phi[j] //= i
    return phi

3.2 코드 분석

위의 코드는 다음과 같이 작동합니다:

  1. φ 배열을 1부터 n까지 초기화합니다. 즉, φ[i]는 처음에는 i로 설정됩니다.
  2. 2부터 n까지의 모든 수 i에 대해, i가 소수인지 확인합니다. 이 경우, φ 배열을 업데이트합니다.
  3. j는 i의 배수로 설정하여 해당 배수의 φ 값을 갱신합니다.

4. 시간 복잡도 분석

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n log log n)입니다. 이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와 유사하여, 매우 효율적으로 φ(n)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작은 n의 경우에만 이 알고리즘을 사용하실 수 있으나, 큰 n의 경우에도 충분히 빠른 성능을 유지합니다.

5. 예제

다음은 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n = 10까지의 오일러 피 값을 계산하고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if __name__ == "__main__":
    n = 10
    result = euler_totient(n)
    print(f"n = {n} 까지의 오일러 피 함수 값: {result[1:]}")

5.1 출력 예시

n = 10 까지의 오일러 피 함수 값: [1, 1, 2, 2, 4, 4, 6, 6, 8, 4]

6. 결론

이번 글에서는 오일러 피 함수의 정의, 성질, 구현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고전적인 방식 대신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활용하면 효율적으로 φ(n)을 구할 수 있다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앞으로 다른 알고리즘과 자료구조를 배우면서 더 복잡한 문제들도 해결해 나가길 바랍니다.

7. 참고 자료

지금까지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시간에도 더 유익한 알고리즘 강좌로 찾아뵙겠습니다.

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오일러 피

문제 설명

오일러의 피 함수(Euler’s totient function) φ(n)은 1부터 n까지의
정수 중 n과 서로소인 수의 개수를 센 함수입니다. 예를 들어,
φ(1)=1, φ(2)=1, φ(3)=2, φ(4)=2, φ(5)=4입니다.

주어진 양의 정수 n에 대해 φ(n) 값을 계산하는 코드를 작성하시오.
단, n은 1과 10^6 사이의 값입니다.

문제 해결 과정

1. 문제 이해하기

이 문제는 오일러의 피 함수의 정의를 기반으로 하며,
n과 서로소인 모든 수를 찾아야 합니다. 서로소란 두 수의
최대공약수가 1인 것을 말하며, 이 조건을 이용해
φ(n)을 구할 수 있습니다.

2. 알고리즘 설계

오일러 피 함수는 기약분수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n의 소인수를 찾아
서로소의 개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n의 소인수 p에 대하여,
φ(n) = n × (1 – 1/p)입니다. n의 모든 소인수에 대해 이 식을 적용하면 됩니다.

3. 코드 구현

먼저 소인수를 찾는 함수를 구현한 후, 이를 이용해
φ(n)을 계산하는 코드를 작성하겠습니다.


def euler_totient(n):
    result = n   # 초기값은 n
    p = 2
    while p * p <= n:   # 소인수를 찾기
        if n % p == 0:   # p가 n의 소인수인지 확인
            while n % p == 0:   # p에 해당하는 소인수를 제거
                n //= p
            result -= result // p   # 서로소 개수 계산
        p += 1
    if n > 1:   # 마지막으로 남은 소인수
        result -= result // n
    return result
        

4. 예제와 테스트

φ(10)을 계산해보겠습니다. φ(10)은 5와 2의 소인수를 가집니다.
이를 통해 φ(10) = 10 × (1 – 1/2) × (1 – 1/5) = 4가 됩니다.


print(euler_totient(10))  # 출력: 4
        

5. 결론

오일러 피 함수는 수론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고급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지식을 제공합니다.
이 문제를 통해 이러한 기반 지식을 확립할 수 있습니다.

© 2023 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연속된 자연수의 합 구하기

이 글에서는 취업을 위한 알고리즘 시험 준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연속된 자연수의 합 구하기’ 문제를 다루고자 합니다. 해당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문제 설명, 풀이 과정, 코드 구현 및 시간 복잡도 분석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문제 설명

연속된 자연수의 합을 구하는 문제는 주어진 정수 N에 대하여 연속된 자연수 k, k+1, k+2, ..., k+m의 합이 N이 되는 경우의 수를 찾는 문제입니다. 여기서 k는 자연수이며, m은 0 이상의 정수입니다.

예를 들어, N = 15인 경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 1 + 2 + 3 + 4 + 5 = 15
  • 4 + 5 + 6 = 15
  • 7 + 8 = 15
  • 15 = 15 (연속된 수가 아닌 경우)

따라서 N = 15인 경우 총 3개의 경우가 존재합니다.

문제 풀이 과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합니다:

  1. 연속된 자연수의 합의 일반적인 식을 이해합니다.
  2. k부터 시작하여 N에 도달하기 위해 m을 조정하면서 결과를 체크합니다.
  3. 모든 가능한 k 값을 시도하여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의 수를 센다.

1. 연속된 자연수의 합의 일반적인 식

연속된 자연수의 합은 다음과 같은 수학적 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S = k + (k + 1) + (k + 2) + ... + (k + m) = (m + 1) * k + (0 + 1 + 2 + ... + m)

위의 식을 정리하면:

S = (m + 1) * k + (m * (m + 1)) / 2

우리는 이 식을 N에 맞춰 조정할 것입니다.

2. k부터 시작하여 m을 조정

이제 우리는 k의 값에 따라 N을 초과하지 않도록 m의 값을 증가시켜가며 필요한 조건을 찾아야 합니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S = N이 되는 경우를 찾아냅니다.

3. 모든 가능한 k 값 시도

이 과정에서는 여러 비효율적인 경우를 피하도록 k의 최대값은 N의 제곱근 정도가 적절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코드 구현

아래는 위의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한 파이썬 코드 예제입니다:

def count_consecutive_sum(N):
    count = 0
    # k 값의 범위 설정
    for k in range(1, N // 2 + 2):
        total = 0
        m = 0
        while total < N:
            total += k + m
            m += 1
        if total == N:
            count += 1
    return count

# 테스트
print(count_consecutive_sum(15))  # 출력: 3

코드 설명

위 코드는 주어진 정수 N에 대해 연속된 자연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경우의 수를 반환합니다. k의 값을 1부터 시작해 N/2 + 2까지 반복하며, 내부에서 m 값을 증가시키며 총합을 계산합니다. 만약 총합이 N과 match 된다면 카운트를 증가시킵니다.

시간 복잡도 분석

위의 코드에서 외부 루프는 O(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며, 내부 루프는 매 k에 대해 약 O(N)번 반복됩니다. 따라서 전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최악의 경우 O(N^2)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k의 범위를 줄여 주면 실질적으로는 더 효율적인 실행이 가능합니다.

최적화

최적화가 가능하는 지점은 k의 최대값을 N의 제곱근으로 제한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성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코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def count_consecutive_sum_optimized(N):
    count = 0
    k = 1
    while k * (k + 1) // 2 < N:  # k의 값이 N보다 작을 때까지
        # 연속된 수의 합 계산
        total = N - (k * (k - 1) // 2)
        if total > 0 and total % k == 0:
            count += 1
        k += 1
    return count

# 테스트
print(count_consecutive_sum_optimized(15))  # 출력: 3

최적화된 코드 설명

위의 최적화된 코드는 N의 제곱근을 k의 최대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성능이 개선되었습니다. 또한, 반복문 내에서 total 계산을 통해 조건을 판별하였습니다. 이론적으로 이 코드는 시간 복잡도 O(sqrt(N))에 가깝게 동작하게 됩니다.

결론

이러한 방식으로 ‘연속된 자연수의 합 구하기’ 문제를 접근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알고리즘의 기본적인 이해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기술들을 연습할 수 있는 좋은 예제입니다. 지속적인 연습을 통해 기본기를 다지고, 여러 문제 상황에 적응력을 기르시기 바랍니다.

코딩테스트는 단순한 문제 해결 능력 뿐만 아니라, 최적화, 시간 복잡도 분석 및 코드 구현의 효율성을 요구합니다. 이 강좌가 여러분이 취업 준비 과정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연속 합 구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강좌에서는 파이썬을 활용한 알고리즘 문제 중 하나인 연속 합 구하기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이 문제는 다양한 경로로 접근할 수 있으며, 알고리즘을 공부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문제를 풀기 위해 필요한 기초 이론부터 해결 과정까지 자세히 설명할 것입니다.

문제 설명

주어진 정수 배열 arr가 있을 때, 이 배열 내에서 연속된 k개의 요소의 합을 최대화하는 알고리즘을 작성하시오. 배열의 길이는 n으로 주어지며, k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입니다. 즉, 우리는 배열 내에서 연속된 k개의 원소의 합을 구하고 이 값의 최대값을 반환해야 합니다.

입력

  • 첫 번째 줄에 배열의 크기 n (1 ≤ n ≤ 100,000)
  • 두 번째 줄에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배열 arr (-109 ≤ arri ≤ 109)
  • 세 번째 줄에 k (1 ≤ k ≤ n)

출력

연속된 k개의 요소의 합의 최대값을 출력합니다.

예제 입력

5
1 2 3 4 5
3

예제 출력

12

설명

주어진 배열에서 연속된 3개의 요소의 합을 구해보면, 3+4+5=12로 가장 큰 값을 가집니다.

문제 풀이 과정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연속합을 계산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필요합니다. 단순하게 배열을 순회하며 모든 연속된 k개의 원소를 합산하고 최대값을 구한다면, 시간복잡도가 O(n*k) 가 되어 최대 n이 100,000일 경우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더욱 효율적인 방법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용한 기법 중 하나는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입니다. 슬라이딩 윈도우는 주어진 배열 또는 리스트에서 특정 크기를 가진 연속적인 부분 배열을 빠르게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기법을 사용하면 시간 복잡도를 O(n)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 설명

  1. 처음 k개의 원소를 합산하여 현재의 최대합으로 설정합니다.
  2. 그 다음, k개의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하나의 요소를 제거하고 새롭게 추가된 요소를 추가하여 합을 갱신합니다.
  3. 이 과정을 배열의 끝까지 반복하며 최대합을 갱신합니다.

구현 코드

이제 이 알고리즘을 파이썬으로 구현해 보겠습니다. 다음은 슬라이딩 윈도우를 사용한 구현입니다:

def max_sum_k_elements(n, arr, k):
    # 초기 윈도우 합산
    current_sum = sum(arr[:k])
    max_sum = current_sum

    # 슬라이딩 윈도우를 사용하여 나머지 원소 탐색
    for i in range(k, n):
        current_sum += arr[i] - arr[i - k]
        max_sum = max(max_sum, current_sum)

    return max_sum

# 입력값 처리
n = int(input())
arr = list(map(int, input().split()))
k = int(input())

# 최대 연속합 출력
print(max_sum_k_elements(n, arr, k))

코드 설명

코드의 각 부분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def max_sum_k_elements(n, arr, k): – 함수 선언 부분으로 입력받은 배열과 k를 사용하여 최대 합을 계산합니다.
  • current_sum = sum(arr[:k]) – 초기 윈도우의 합을 계산합니다.
  • max_sum = current_sum – 현재의 최대합을 초기화합니다.
  • for i in range(k, n): – 슬라이딩 윈도우를 위해 k부터 n까지 반복합니다.
  • current_sum += arr[i] - arr[i - k] – 새로운 원소를 포함하고, 제외된 원소를 빼며 현재 합을 갱신합니다.
  • max_sum = max(max_sum, current_sum) – 최대 합을 업데이트합니다.
  • return max_sum – 최종 최대 합을 반환합니다.

결론

이제 우리는 배열에서 연속된 k개의 원소의 합을 최대화하는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시간 복잡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고, 이는 실제 취업 코딩테스트에서 매우 유용한 테크닉입니다.

추가적으로, 이 문제는 다른 형태로도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예제를 통해 더욱 연습하시길 추천드립니다.

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연결 요소의 개수 구하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코딩 테스트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문제 중 하나인 “연결 요소의 개수 구하기”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이 문제는 주어진 그래프의 연결 요소가 몇 개인지를 구하는 것이며, DFS(Depth-First Search) 또는 BFS(Breadth-First Search)와 같은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강좌를 통해 문제의 이해와 해결 방법을 익혀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 설명

연결 요소의 개수 구하기 문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그래프가 주어질 때, 이 그래프의 연결 요소의 개수를 구하시오.

입력:
-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 (1 <= N <= 1000)와 간선의 개수 M (0 <= M <= 10000)이 주어진다.
-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간선의 정보를 나타내는 두 정수가 주어진다. 두 정수 A, B는 정점 A와 정점 B가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출력:
- 연결 요소의 개수를 출력한다.

문제 접근 방법

그래프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먼저 그래프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주어진 정점과 간선 정보를 바탕으로 인접 리스트를 구성하여 그래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연결 요소는 서로 연결된 정점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이를 찾기 위해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방문하면서 방문하지 않은 정점을 만날 때마다 새로운 연결 요소가 발견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구현 단계

  1. 입력으로부터 그래프를 인접 리스트 형태로 구성합니다.
  2. 모든 정점을 방문하면서 DFS 또는 BFS를 통해 연결 요소를 탐색합니다.
  3. 탐색 과정에서 방문하지 않은 정점을 만날 때마다 연결 요소의 개수를 증가시킵니다.

코드 구현

이제 위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실제 코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파이썬 언어로 DFS를 사용하여 연결 요소의 개수를 구할 것입니다.

def dfs(vertex, adjacency_list, visited):
    visited[vertex] = True # 현재 정점을 방문 처리
    for neighbor in adjacency_list[vertex]:
        if not visited[neighbor]:
            dfs(neighbor, adjacency_list, visited)

def count_connected_components(n, edges):
    adjacency_list = [[] for _ in range(n + 1)]
    for a, b in edges:
        adjacency_list[a].append(b)
        adjacency_list[b].append(a)

    visited = [False] * (n + 1)
    component_count = 0

    for vertex in range(1, n + 1):
        if not visited[vertex]:
            component_count += 1  # 새로운 연결 요소 발견
            dfs(vertex, adjacency_list, visited)

    return component_count

# 입력 받기
n, m = map(int, input().split())
edges = [tuple(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m)]

# 연결 요소의 개수 출력
print(count_connected_components(n, edges))

코드 설명

위 코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과정이 반복됩니다.

  • 우선, 인접 리스트 형태로 그래프를 구성합니다. 이때 n + 1 크기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1부터 n까지 인덱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 주어진 간선 정보를 이용하여 양방향 그래프를 구성합니다. 각 정점 A에 대해 연결된 정점 B를 추가하고, B에도 A를 추가하여 양방향성을 갖도록 합니다.
  • 방문 처리 리스트인 visited 배열을 정의합니다. 이는 각 정점이 방문되었는지 여부를 저장합니다.
  • 1부터 n까지의 정점을 하나씩 방문하며, 방문하지 않은 정점이 발견되면 DFS를 호출하여 그 정점과 연결된 모든 정점을 탐색합니다. 이 과정에서 연결 요소의 개수를 증가시킵니다.

복잡도 분석

이번 문제의 시간 복잡도는 O(N + M)입니다. 이때 N은 정점의 수, M은 간선의 수를 의미합니다. DFS 또는 BFS를 수행할 때 정점과 간선을 각각 한 번씩 방문하므로, 이는 그래프 탐색의 일반적인 시간 복잡도입니다. 공간 복잡도 또한 O(N + M)으로 그래프를 인접 리스트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며, 방문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추가적인 배열이 필요합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연결 요소의 개수 구하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문제는 코드 구현뿐만 아니라 그래프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다양한 변형 문제로 응용될 수 있습니다. 이 강좌를 통해 그래프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길 바랍니다. 다음 강좌에서도 더 흥미롭고 유용한 알고리즘 문제를 다루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