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프트 코딩테스트 강좌, 기수 정렬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위프트를 사용한 기수 정렬(Radix Sort) 알고리즘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기수 정렬은 비슷한 숫자들을 그룹으로 묶어 정렬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으로, 주로 정수의 집합을 정렬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수 정렬의 개요

기수 정렬은 숫자나 문자열을 자리수 단위로 나누어 정렬하는 비교 기반 정렬 알고리즘입니다. 기수 정렬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 주어진 숫자를 특정 자리수로 분해합니다.
  • 각 자리수에서 가장 작은 자리수(LSB)부터 시작하여 정렬합니다.
  • 자리수를 올려가며 이를 반복합니다.

기수 정렬은 안정 정렬 알고리즘이며, 평균과 최악의 경우 시간 복잡도는 O(nk)입니다. 여기서 n은 요소의 개수, k는 최대 자리수입니다.

문제 설명

이제 기수 정렬을 사용하여 다음 문제를 해결해 보겠습니다.

문제:

다음의 정수 배열을 기수 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시오:

[170, 45, 75, 90, 802, 24, 2, 66]

문제 풀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수 정렬 알고리즘을 단계별로 구현해 보겠습니다. 스위프트 언어로 미리 정의된 함수와 구조체를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하겠습니다.

1단계: 자리수 기준으로 분리하기

기수 정렬의 첫 번째 단계로 각 자릿값을 기준으로 분리합니다. 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자리수에 맞게 숫자를 추출하는 함수를 만듭니다.

func getDigit(number: Int, digitIndex: Int) -> Int {
    return (number / Int(pow(10.0, Double(digitIndex)))) % 10
}

2단계: 기수 정렬 알고리즘 구현하기

이제 전체 기수 정렬 알고리즘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우리는 자리수에 따라 그룹으로 나누고 그에 따라 정렬을 수행할 배열을 만들어야 합니다.

func radixSort(array: [Int]) -> [Int] {
    let maxNumber = array.max() ?? 0
    let maxDigits = String(maxNumber).count
    
    var sortedArray = array
    
    for digitIndex in 0.. [Int] {
    let countArraySize = 10
    var countArray = [Int](repeating: 0, count: countArraySize)
    var outputArray = [Int](repeating: 0, count: array.count)
    
    for number in array {
        let digit = getDigit(number: number, digitIndex: digitIndex)
        countArray[digit] += 1
    }
    
    for index in 1..

3단계: 결과 출력하기

이제 기수 정렬 알고리즘을 통해 결과를 출력해 보겠습니다. 주어진 배열을 정렬하기 위해 위에서 구현한 함수를 호출합니다.

let unsortedArray = [170, 45, 75, 90, 802, 24, 2, 66]
let sortedArray = radixSort(array: unsortedArray)

print("정렬된 배열: \(sortedArray)")

정리

기수 정렬은 특정 자릿값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핑하고 정렬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 알고리즘을 통해 정수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었습니다. 스위프트를 사용하여 기수 정렬을 구현하는 과정을 통해 알고리즘의 원리를 이해하고 어떻게 체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지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참고 문헌

  • Introduction to Algorithms – Thomas H. Cormen, Charles E. Leiserson, Ronald L. Rivest
  • GeeksforGeeks 기수 정렬 기사
  • Swift 공식 문서

스위프트 코딩테스트 강좌, 기하 알아보기

서론

안녕하세요! 이번 강좌에서는 스위프트를 이용하여 기하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하학적 문제는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되는 주제 중 하나로, 특히 좌표계에서의 점, 선, 면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하학의 기초 개념과 함께, 이를 활용한 알고리즘 문제를 제시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기하학의 기초

기하학은 도형과 그 도형들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입니다. 알고리즘 문제에서 주로 다루는 기하학의 대상은 점, 선, 삼각형, 다각형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하학적 도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두 점 간의 거리, 선의 교차 여부, 다각형의 둘레 및 넓이 계산 등이 기하학 문제의 핵심입니다.

문제 설명

이번 문제는 다각형의 넓이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주어진 N개의 점을 이은 다각형의 넓이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작성해야 합니다.

문제

다음과 같은 N개의 점이 주어진다. 이 점들을 이어서 다각형을 만들 때, 이 다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알고리즘을 작성하시오. 점들은 2차원 평면에 주어지며, 좌표값은 정수로 표현된다.

입력

  • 첫 줄에 정수 N (3 ≤ N ≤ 10^6)이 주어진다.
  • 다음 N줄에 각각의 점의 X, Y 좌표가 정수로 주어진다.

출력

다각형의 넓이를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출력하시오.

문제 해결 과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각형의 넓이를 계산하는 방법을 이해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다각형의 넓이를 계산하는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은 ‘Shoelace Theorem’ (또는 ‘Surveyor’s Formula’)입니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수식을 사용합니다:

Sholace Theorem

주어진 점들이 (x1, y1), (x2, y2), …, (xN, yN)일 때, 다각형의 넓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 ( x _ i · y _ i+1 ) ( y _ i · x _ i+1 ) ) 2

극단적으로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다각형의 모든 점들에 대해 위의 수식을 적용하여 얻은 합의 절댓값을 구한 뒤, 2로 나누면 넓이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이를 스위프트로 구현해보겠습니다.

스위프트 구현

            
                import Foundation

                struct Point {
                    var x: Int
                    var y: Int
                }

                func polygonArea(points: [Point]) -> Double {
                    var area = 0
                    let n = points.count

                    for i in 0..
        

위의 코드를 통해 다각형의 넓이를 계산하는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structs를 사용하여 점의 좌표를 표현하고, polygonArea 함수를 통해 주어진 점들의 목록에 대한 넓이를 계산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점들을 입력받고 넓이를 출력하도록 main 함수에서 처리하고 있습니다.

결론

이번 강좌를 통해 기하적 문제와 그 해결을 위한 알고리즘을 학습하였습니다. 스위프트를 사용하여 다각형의 넓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았는데, 이는 코딩 테스트에서 매우 유용한 기법입니다. 기하학적 문제는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므로, 기본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고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기하 문제에 도전해보며 실력을 쌓아보세요!

© 2023 스위프트 코딩테스트 강좌

스위프트 코딩테스트 강좌, 그리디 알고리즘

그리디 알고리즘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항상 최적의 선택을 하는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현재 상태에서 가장 좋은 선택을 하는 알고리즘입니다. 본 강좌에서는 그리디 알고리즘의 기본 개념 및 예제를 통해 이해를 돕겠습니다.

문제: 동전 거스름돈

상점에서 제공하는 동전의 종류가 주어졌을 때, 주어진 금액을 거슬러 주기 위한 최소한의 동전 개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문제 설명:

  • 입력: 동전의 종류와 거슬러 줄 금액이 주어진다.
  • 출력: 최소한의 동전 개수

입력 예시:

동전의 종류: 1, 3, 4
금액: 6

출력 예시:

2 (3 + 3)

문제 해결 과정

1. 문제 분석

거슬러 줄 금액을 동전의 종류에 따라 최소한의 동전 개수로 표현하는 것이 이 문제의 핵심입니다. 가장 큰 동전부터 선택하는 방법이 효율적입니다.

2. 접근 방법

해결을 위해 사용할 기본적인 접근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어진 동전의 종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2. 가장 큰 동전부터 사용할 수 있는 만큼 사용한다.
  3. 남은 금액에 대해 다시 위 과정을 반복한다.
  4. 거슬러 주어야 할 금액이 0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을 계속한다.

3. 알고리즘 구현 (Swift)


func minCoins(coins: [Int], amount: Int) -> Int {
    var remainingAmount = amount
    var coinCount = 0
    var sortedCoins = coins.sorted(by: { $0 > $1 }) // 내림차순 정렬
    
    for coin in sortedCoins {
        while remainingAmount >= coin {
            remainingAmount -= coin
            coinCount += 1
        }
    }
    return remainingAmount == 0 ? coinCount : -1 // 정확히 거슬러 주지 못할 경우 -1 반환
}

// 사용 예시
let coins = [1, 3, 4]
let amount = 6
let result = minCoins(coins: coins, amount: amount)
print("최소 동전 개수: \(result)")
            

위의 코드에서는 주어진 동전의 종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뒤, 가장 큰 동전부터 가능한 만큼 금액에서 차감하여 동전 개수를 세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합니다.

결과 분석

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n log n)입니다. (n은 동전의 종류 개수) 이 문제는 그리디 알고리즘의 전형적인 예시로, 동전의 종류가 단조 증가하거나, 특정한 규칙성이 있을 경우 최적의 해를 보장합니다.

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그리디 알고리즘이 최적의 해를 보장하지는 않으므로 약간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징적인 예로, 동전의 종류가 {1, 3, 4}일 때는 최적의 해를 찾을 수 있지만, {1, 3, 4, 6} 같이 동전의 종류가 추가되면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그리디 알고리즘의 기본적인 이해를 돕고, 실무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넓혔기를 바랍니다.

스위프트 코딩테스트 강좌, 구간 합 구하기 3

이번 강좌에서는 스위프트를 사용하여 구간 합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문제 설명

다음과 같은 문제를 고려해 보겠습니다.

정수 N개로 이루어진 배열 A와, M개의 질의가 주어진다. 각 질의는 두 정수 i, j로 주어지며, A[i]부터 A[j]까지의 합을 구하라.

배열의 크기 N과 질의의 개수 M은 다음과 같다:

  • 1 ≤ N, M ≤ 100,000
  • -10,000 ≤ A[i] ≤ 10,000
  • 1 ≤ i ≤ j ≤ N

입력 예제

입력 형식은 다음과 같다:

        5 3
        1 2 3 4 5
        1 3
        2 4
        1 5
    

위의 입력에서 첫 번째 줄은 배열의 크기 N과 질의의 개수 M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 줄은 배열 A의 요소들입니다. 그 이후의 M줄은 각 질의를 나타냅니다.

출력 예제

입력의 각 질의에 대해 합을 출력해야 합니다.

        6
        9
        15
    

문제 풀이 방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은 누적 합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즉, 배열 A의 누적 합을 미리 계산해 놓으면 각 질의의 합을 상수 시간에 구할 수 있습니다.

1단계: 누적 합 계산

누적 합 배열 prefixSum을 생성하여, prefixSum[i]는 배열 A의 첫 번째 요소부터 i번째 요소까지의 합을 저장합니다.

    let N = 5
    let A = [1, 2, 3, 4, 5]
    var prefixSum = [Int](repeating: 0, count: N + 1)

    for i in 1...N {
        prefixSum[i] = prefixSum[i - 1] + A[i - 1]
    }
    

2단계: 질의 처리

질의를 처리할 때는 prefixSum[j] - prefixSum[i - 1]를 사용하여 i부터 j까지의 합을 구합니다. 이를 통해 각 질의의 시간 복잡도는 O(1)이 됩니다.

    let queries = [(1, 3), (2, 4), (1, 5)]
    for query in queries {
        let i = query.0
        let j = query.1
        let result = prefixSum[j] - prefixSum[i - 1]
        print(result)
    }
    

전체 코드

위의 설명을 종합하여 전체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let firstLine = readLine()!.split(separator: " ").map { Int($0)! }
    let N = firstLine[0] // 배열의 크기
    let M = firstLine[1] // 질의의 개수

    let A = readLine()!.split(separator: " ").map { Int($0)! }
    var prefixSum = [Int](repeating: 0, count: N + 1)

    for i in 1...N {
        prefixSum[i] = prefixSum[i - 1] + A[i - 1]
    }

    for _ in 0..

    

시간 복잡도

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N + M)입니다. N은 배열 A의 크기이고, M은 질의의 개수입니다. A의 요소를 모두 더하는 O(N)과 M개의 질의를 처리하는 O(M)이 합쳐졌기 때문입니다.

결론

이번 강좌에서는 구간 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누적 합을 활용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이 방법을 통해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유사한 문제를 해결할 때 이 기법을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스위프트 코딩테스트 강좌, 그래프의 표현

1. 서론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알고리즘 및 자료구조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등장하는 문제 중 하나가 바로 그래프 관련 문제입니다. 그래프는 노드(정점)와 엣지(간선)로 구성된 자료구조로,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강좌에서는 그래프의 표현 방식과 관련된 알고리즘 문제를 통해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2. 그래프의 표현

그래프를 표현하는 방법은 주로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

  •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 그래프의 모든 정점에 대해 2차원 배열을 사용하여 간선의 유무를 표현합니다. 이 방식은 정점의 개수가 적을 때 유용합니다. 배열의 크기는 O(V^2)입니다.
  • 인접 리스트(Adjacency List): 각 정점에 대해 연결된 정점을 리스트로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메모리 효율이 좋으며, 간선의 개수가 적은 그래프에 적합합니다. 이 방식의 시간 복잡도는 O(V + E)입니다.

3. 문제 설명

다음 문제를 통해 그래프의 표현 방식을 실제로 적용해보겠습니다.

문제: 친구 네트워크

당신은 N명의 친구가 있는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친구 관계는 양방향이며, 두 친구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그들은 서로의 친구입니다. 친구 관계를 그래프로 표현하고, 특정 두 친구가 같은 친구 그룹에 속하는지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친구 그룹은 간접적으로 연결된 모든 친구를 포함합니다.

입력 형식:

N (친구의 수)
M (친구 관계의 수)
M개의 줄에 걸쳐 두 친구 A와 B (1 ≤ A, B ≤ N)가 주어집니다.
            

출력 형식:

A와 B가 같은 친구 그룹에 속하면 "YES"를, 그렇지 않으면 "NO"를 출력합니다.
            

4. 문제 풀이 과정

4.1. 그래프 생성

먼저, 입력으로 주어진 친구 관계를 바탕으로 그래프를 생성해야 합니다. 우리는 인접 리스트를 사용하여 이를 구현하겠습니다. 다음은 그래프 생성을 위한 간단한 스위프트 코드입니다.


import Foundation

// 그래프를 표현하기 위한 인접 리스트
var graph: [Int: [Int]] = [:]

// 친구 관계를 추가하는 함수
func addFriendRelation(friendA: Int, friendB: Int) {
    graph[friendA, default: []].append(friendB)
    graph[friendB, default: []].append(friendA)
}

// 그래프 생성 함수
func createGraph(N: Int, relations: [(Int, Int)]) {
    for (A, B) in relations {
        addFriendRelation(friendA: A, friendB: B)
    }
}
            

위 코드는 각 친구를 키로 하고 연결된 친구들의 리스트를 값으로 가지는 딕셔너리를 만들어 그래프를 생성합니다.

4.2. 친구 그룹 찾기

이제 두 친구가 같은 그룹에 속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깊이 우선 탐색(DFS) 또는 너비 우선 탐색(BFS)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DFS를 선택하겠습니다. DFS를 통해 연관된 친구들을 모두 탐색할 수 있습니다.


func dfs(start: Int, visited: inout Set) {
    visited.insert(start)
    for friend in graph[start, default: []] {
        if !visited.contains(friend) {
            dfs(start: friend, visited: &visited)
        }
    }
}

// 두 친구가 같은 그룹에 속하는지 확인하는 함수
func areInSameGroup(friendA: Int, friendB: Int) -> Bool {
    var visited = Set()
    dfs(start: friendA, visited: &visited)
    return visited.contains(friendB)
}
            

4.3. 전체 프로세스

이제 전체 과정을 통합하여 문제를 해결해보겠습니다. 입력을 받고, 그래프를 생성하고, 두 친구의 관계를 확인하는 코드입니다.


let N = Int(readLine()!)! // 친구의 수
let M = Int(readLine()!)! // 친구 관계의 수

var relations = [(Int, Int)]()

for _ in 0..

위 코드는 전체 흐름을 통해 친구 관계를 표현하고 검사하는 로직을 구현한 것입니다.

5. 결론

이번 강좌를 통해 그래프의 표현 방법과 기본적인 DFS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그래프는 다양한 문제에 적용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구조로, 충분한 연습을 통해 숙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코딩 테스트에서도 이러한 문제가 종종 출제되므로, 문제를 여러 번 풀어보며 실력을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 2023 스위프트 코딩테스트 강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