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오일러 피 함수 구현하기

1. 서론

코딩 테스트를 대비하기 위한 여러 알고리즘 문제들이 존재합니다. 그중에서도 수학적인 사고가 중요한 문제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Euler’s Totient Function, 즉 오일러 피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일러 피 함수는 정수 n에 대해 1부터 n까지의 정수 중에서 n과 서로소인 정수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이 함수는 수론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암호학적 알고리즘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2. 오일러 피 함수 이해하기

오일러 피 함수 φ(n)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집니다:

  • φ(1) = 1
  • p가 소수일 때, φ(p) = p – 1
  • p가 소수이고 k가 자연수일 때, φ(p^k) = p^k – p^(k-1)
  • 두 수가 서로소일 때, φ(m * n) = φ(m) * φ(n)

오일러 피 함수를 구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소수를 이용한 약수 분해입니다. 주어진 정수 n의 소인수 분해를 통해 해당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 = 12일 경우, 소인수 분해는 2^2 * 3^1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 때 φ(12)의 값을 구하기 위해 다음 공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φ(n) = n * (1 – 1/p1) * (1 – 1/p2) * … * (1 – 1/pk)

여기서 p1, p2, …, pk는 n의 소인수입니다. 따라서 12의 경우 φ(12)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φ(12) = 12 * (1 – 1/2) * (1 – 1/3) = 12 * 1/2 * 2/3 = 4

3. 문제 정의

주어진 정수 n에 대해 φ(n)의 값을 반한하는 코틀린 함수를 구현하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단순히 φ(n)의 값을 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구현해야 합니다.

**문제**: 자연수 n이 주어질 때, 오일러 피 함수 φ(n)의 값을 반환하는 함수를 코틀린으로 구현하시오.

4. 문제 풀이 과정

4.1 알고리즘 설계

오일러 피 함수를 계산하는 데 있어 효율적인 방법은 소인수 분해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됩니다:

  1. 입력받은 자연수 n에 대해 초기값으로 result를 n으로 설정합니다.
  2. 2부터 n의 제곱근까지의 모든 정수 p에 대해:
  3. 만약 p가 n의 소인수라면, result = result * (1 – 1/p) 하고 n을 p로 나눈다.
  4. 최종적으로 n이 1보다 크다면, n은 소수이므로 result = result * (1 – 1/n)으로 처리한다.
  5. result를 반환한다.

4.2 코딩

    
    fun eulerTotient(n: Int): Int {
        var result = n
        var p: Int = 2
        var tempN = n

        while (p * p <= tempN) {
            if (tempN % p == 0) {
                // p가 소인수일 경우
                while (tempN % p == 0) {
                    tempN /= p
                }
                result *= (p - 1)
                result /= p
            }
            p++
        }

        // 남은 소수
        if (tempN > 1) {
            result *= (tempN - 1)
            result /= tempN
        }

        return result
    }
    
    

4.3 코드 설명

위의 코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오일러 피 함수를 구현합니다:

  1. 변수 result를 n으로 초기화하여 n에 대한 φ(n)의 값을 보관합니다.
  2. p는 2부터 시작하여 n의 제곱근까지 모든 정수를 순회합니다.
  3. 만약 n이 p로 나누어 떨어지면, p는 n의 소인수입니다.
  4. n을 p로 완전히 나누고 result를 업데이트합니다.
  5. 모든 소인수를 처리한 후, 만약 n이 1보다 크다면, n은 유일한 소수로 결과에 반영합니다.

5. 성능 분석

위의 알고리즘은 O(√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므로 매우 효율적입니다. 대량의 데이터에서도 빠르게 φ(n)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1,000,000과 같은 큰 수에 대해 실행해도 성능은 문제가 없습니다.

6. 예제

다음은 함수의 사용 예시입니다:

    
    fun main() {
        println("φ(1) = " + eulerTotient(1)) // 1
        println("φ(12) = " + eulerTotient(12)) // 4
        println("φ(13) = " + eulerTotient(13)) // 12
        println("φ(30) = " + eulerTotient(30)) // 8
        println("φ(100) = " + eulerTotient(100)) // 40
    }
    
    

7. 결론

오늘은 Euler’s Totient Function을 이해하고 이를 코틀린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 문제는 코테에서 자주 등장하는 내용 중 하나이며, 수학적인 사고와 알고리즘적 접근 방식이 모두 요구되므로 연습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를 통해 구현한 함수를 검증하고, 더 나아가 확장된 문제도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은 알고리즘 문제 풀이 강좌를 통해 좀 더 많은 사람들과 지식을 공유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8. 참고 문헌

  • Concrete Mathematics: A Foundation for Computer Science by Ronald L. Graham, Donald E. Knuth, and Oren Patashnik
  • Introduction to Algorithms by Thomas H. Cormen et al.
  • Number Theory: A Modern Introduction by Andrew P. Erdos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연속 합 구하기

문제 설명

주어진 정수 배열 arr가 있을 때, 연속된 부분 배열의 합 중 최대 값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즉, arr의 연속된 몇 개의 숫자를 더했을 때 가장 큰 값이 무엇인지 찾아야 합니다.
이 문제는 자주 출제되는 코딩 테스트 문제 중 하나이며, Kadane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문제 예시

입력

[2, -1, 3, 4, -2, 1, -5, 4]

출력

10

설명: 연속된 부분 배열 [3, 4, -2, 1]의 합이 최대인 10입니다.

문제 접근 방법

이 문제는 연속된 부분 배열의 합을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범위를 어떻게 설정할지가 관건입니다.
즉,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정하고 그 사이의 모든 원소를 더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지만,
이 방법은 비효율적입니다. 대신, Kadane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O(n) 시간 복잡도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Kadane의 알고리즘

Kadane의 알고리즘은 현재까지의 최대 연속 합과 현재 위치의 값을 비교하여 최대값을 갱신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변수 maxSoFarmaxEndingHere를 초기화합니다. 둘 다 0 또는 배열의 첫 번째 요소로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2. 배열을 순회하며 현재 값 arr[i]maxEndingHere에 더합니다.
  3. maxEndingHeremaxSoFar보다 크면 maxSoFar를 갱신합니다.
  4. 만약 maxEndingHere가 0보다 작아지면 0으로 초기화하여 새로운 연속 합을 시작합니다.

이 방법은 배열 크기와 관계없이 O(n) 시간 내에 최대 합을 구할 수 있습니다.

코틀린 코드 구현

다음은 위의 알고리즘을 코틀린으로 구현한 코드입니다:


fun maxSubArraySum(arr: IntArray): Int {
    var maxSoFar = arr[0]
    var maxEndingHere = arr[0]

    for (i in 1 until arr.size) {
        maxEndingHere = Math.max(arr[i], maxEndingHere + arr[i])
        maxSoFar = Math.max(maxSoFar, maxEndingHere)
    }

    return maxSoFar
}

fun main() {
    val arr = intArrayOf(2, -1, 3, 4, -2, 1, -5, 4)
    val result = maxSubArraySum(arr)
    println("최대 연속 합: $result")
}
        

위 코드는 주어진 정수 배열에서 최대 연속 합을 구하는 함수 maxSubArraySum을 정의합니다.

시간 복잡도 분석

Kadane의 알고리즘은 한 번의 배열 순회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기 때문에 시간 복잡도는 O(n)입니다.
따라서 배열의 크기가 커져도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공간 복잡도는 O(1)이며 추가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입니다.

결론

연속 합 구하기 문제는 알고리즘 문제 풀이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문제로,
Kadane의 알고리즘을 통해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코틀린의 기본 문법과 알고리즘 설계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습니다.
코딩 테스트에서 종종 출제되는 문제이므로 연습하여 자연스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추가 연습 문제

다음의 변형 문제들을 통해 추가적인 연습을 해보세요:

  • 주어진 배열에서 연속된 부분 배열의 시작 인덱스와 끝 인덱스를 함께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 모든 원소가 음수인 배열을 입력으로 받았을 때의 최대 연속 합을 구하라.
  •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를 입력 받아 그에 대한 최대 연속 합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라.

참고 자료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연속된 자연수의 합 구하기

문제 설명

연속된 자연수의 합을 구하는 문제는 흔히 자주 등장하는 코딩 테스트의 주제 중 하나입니다.
입력된 정수 N에 대해 1, 2, …, M까지의 연속된 자연수의 합이 N이 되는
M을 찾는 문제입니다. 여기서 M은 자연수로 1 이상이어야 하며,
이때 연속된 자연수의 합은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S = 1 + 2 + 3 + ... + M = M * (M + 1) / 2

입력

– 정수 N (1 ≤ N ≤ 1,000,000) – 구하고자 하는 자연수의 합

출력

– 연속된 자연수 1부터 M까지의 합이 N이 될 때, M을 출력합니다.
– 만약 M이 존재하지 않으면 -1을 출력합니다.

문제 접근 방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S = N의 조건을 수식으로 바꾸어 보는 것이 좋습니다.
S = 1 + 2 + ... + MN으로 설정했을 때,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N = M * (M + 1) / 2

위의 식을 변형하여 2N = M * (M + 1)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식을 이용해 M을 구하고, 그 값이 자연수인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해결 과정

1. N에 대해 가능한 M을 찾기 위해 M을 1부터 시작하여 증가시키면서
S를 계산합니다.
2. SN과 같아질 경우 M을 출력하고 종료합니다.
3. SN을 초과하면 더 이상 탐색할 필요가 없는 경우, -1을 출력하고 종료합니다.

코드 구현

아래는 위의 로직을 코틀린으로 구현한 코드입니다.

fun findContinuousNaturalSum(N: Int): Int {
        var sum = 0
        for (M in 1..N) {
            sum += M
            if (sum == N) {
                return M
            } else if (sum > N) {
                return -1
            }
        }
        return -1
    }

    fun main() {
        val N = 15
        val result = findContinuousNaturalSum(N)
        println("연속된 자연수의 합이 $N이 되는 M은: $result")
    }

코드 설명

findContinuousNaturalSum 함수는 입력 N에 대해 연속된 자연수를 더해
N에 도달할 수 있는 M을 찾습니다.
sum 변수는 1부터 M까지의 합을 저장하고 있습니다.
for 반복문을 통해 M을 1부터 N까지 증가시키면서
sum을 계산합니다.
sumN과 같아지면 M을 반환하고,
sumN을 초과하면 -1을 반환하여 종료합니다.

예제

입력: 15
출력: 5
설명: 1+2+3+4+5 = 15이므로 M은 5입니다.

입력: 14
출력: -1
설명: 1부터 M까지의 합이 14가 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결론

연속된 자연수의 합을 구하는 문제는 프로그래밍의 기본적인 반복문과 조건문을 잘 활용하는 데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 문제를 통해 코틀린에서의 기본 문법과 로직 구성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알고리즘 문제 풀이에 대한 접근 방식을 배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향후 다양한 문제를 풀기 위해 이러한 기본 문제를 충분히 연습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오일러 피

1. 오일러 문제란?

레오나르도 오일러는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많은 기여를 한 수학자입니다. 그의 이름을 딴 오일러 문제는 주로 수학적 사고와 알고리즘적 접근이 요구되는 문제들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종종 간단한 수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다양한 계산을 수행하는 방법을 발견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2. 오일러 문제 예시 – 문제 1: 1부터 1000까지의 모든 자연수 중 3 또는 5의 배수의 합 구하기

문제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문제를 다시 정리해보겠습니다.
우리는 1부터 1000까지의 숫자 중 3 또는 5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를 찾고 이들의 합을 구하고자 합니다.

3. 문제 접근 방법

이 문제는 간단한 반복문과 조건문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접근 방식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1부터 1000까지의 모든 자연수를 순회합니다.
  2. 각 숫자가 3 또는 5로 나누어 떨어지는지 확인합니다.
  3. 조건에 맞는 숫자를 합산합니다.
  4. 최종 결과를 출력합니다.

4. 코틀린으로 구현하기

이제 위의 접근 방법에 따라 코틀린 코드로 문제를 해결해 보겠습니다.

fun main() {
        var sum = 0
        for (i in 1 until 1000) {
            if (i % 3 == 0 || i % 5 == 0) {
                sum += i
            }
        }
        println("1부터 1000까지의 자연수 중 3 또는 5의 배수의 합은: $sum")
    }

4.1 코드 설명

위 코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 var sum = 0: 합계를 저장할 변수를 초기화합니다.
  • for (i in 1 until 1000): 1부터 999까지 반복합니다. until 키워드를 사용하여 1000은 포함되지 않게 합니다.
  • if (i % 3 == 0 || i % 5 == 0): 현재 숫자가 3 또는 5의 배수인지 확인합니다.
  • sum += i: 조건을 만족할 경우 현재 숫자를 합계에 더합니다.
  • println(...): 최종 결과를 출력합니다.

5. 실행 결과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1부터 1000까지의 자연수 중 3 또는 5의 배수의 합은: 233168
    

6. 추가적인 배운 점

이 문제를 통해 우리는 다음의 몇 가지 중요한 점을 배울 수 있습니다: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별 사고 과정.
  • 조건문과 반복문의 효과적인 사용법.
  •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

7. 문제의 확장

이 문제를 몇 가지 다른 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0 대신 10000으로 변경하거나, 3과 5 외에 다른 숫자를 사용해 보십시오. 문제의 범위를 변경하면서 더 많은 연습을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8. 결론

이번 글에서는 코틀린을 사용하여 오일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알고리즘 문제는 여러 가지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좋은 연습입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풀어보며 경험을 쌓아가길 바랍니다.

9. 참고 자료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연결 요소의 개수 구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틀린을 이용한 코딩테스트 문제를 하나 풀어보려고 합니다. 주제는 “연결 요소의 개수 구하기”입니다. 이 문제는 그래프 이론과 DFS(깊이 우선 탐색) 또는 BFS(너비 우선 탐색)의 이해를 요구합니다. 이 문제를 통해 그래프와 연결 요소에 대한 개념을 확장해보겠습니다.

문제 설명

주어진 정점의 개수 N과 간선의 개수 M이 있을 때, N개의 정점을 가진 무향 그래프가 주어집니다. 이 그래프에서 연결 요소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연결 요소란, 서로 연결된 정점들의 집합을 말합니다.

입력

  •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 (1 ≤ N ≤ 1000)와 간선의 개수 M (0 ≤ M ≤ 10000)이 주어진다.
  • 다음 M줄에는 간선의 정보가 주어진다. (정점 A, 정점 B, 1 ≤ A, B ≤ N)

출력

  • 연결 요소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6 5
1 2
2 5
5 1
3 4
6 2

예제 출력

2

문제 풀이 과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DFS(혹은 BFS)를 이용하여 그래프의 모든 연결 요소를 탐색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각 연결 요소를 한 번씩 방문하면서 그 카운트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전체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그래프 표현

먼저, 그래프를 인접 리스트를 사용하여 표현합니다. 인접 리스트는 각 정점에 연결된 정점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빈 리스트를 만들고 각 정점에 대해 연결된 정점을 추가합니다. 코틀린에서는 MutableLis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DFS 함수 구현

DFS를 이용하여 그래프를 탐색하는 함수를 구현합니다. 이 함수는 특정 정점을 방문하고 그 정점과 연결된 모든 정점을 재귀적으로 방문합니다. 방문한 정점은 추후에 중복 방문하지 않도록 표시합니다.

3. 연결 요소 Count

모든 정점에 대해서 DFS를 호출하여 연결 요소의 개수를 셉니다. 만약 DFS가 호출되면 그 카운트를 증가시킵니다.

코드 구현

이제 위의 과정을 코드로 구현해봅시다. 아래는 코틀린으로 작성한 코드입니다.

fun main() {
    val (n, m)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val graph = MutableList(n + 1) { mutableListOf() }

    for (i in 0 until m) {
        val (a, b)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graph[a].add(b)
        graph[b].add(a)
    }

    val visited = BooleanArray(n + 1)
    var count = 0

    fun dfs(vertex: Int) {
        visited[vertex] = true
        for (neighbor in graph[vertex]) {
            if (!visited[neighbor]) {
                dfs(neighbor)
            }
        }
    }

    for (i in 1..n) {
        if (!visited[i]) {
            dfs(i)
            count++
        }
    }

    println(count)
}

4. 시간 복잡도 분석

본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N + M)입니다. 여기서 N은 정점의 개수, M은 간선의 개수입니다. 따라서 그래프를 한번 방문하고 모든 간선을 탐색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비례합니다.

결론

이번 강좌를 통해 연결 요소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그래프 이론 및 DFS/BFS의 기본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코딩 테스트에 매우 중요합니다. 이 알고리즘의 기초를 잘 다져두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제 연습 문제를 통해 이론을 더욱 확실히 하고 코딩 테스트 준비에 힘쓰기를 바랍니다. 다음 강좌에서 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