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구간 곱 구하기

문제 설명

주어진 숫자 배열의 구간에 해당하는 곱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숫자 배열 [2, 3, 4, 5]가 주어졌을 때,
구간 [1, 3]에 해당하는 곱은 3 * 4 * 5이며, 결과는 60입니다.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입력:

  • n : 정수 배열의 크기 (1 ≤ n ≤ 105)
  • 정수 배열 arr : 크기 n의 배열 (1 ≤ arr[i] ≤ 1000)
  • m : 구간 요청의 개수 (1 ≤ m ≤ 105)
  • 구간 요청 [l, r] (1 ≤ lrn)

출력: 각 원소의 구간에 대한 곱을 구하여 출력하라.

문제 접근 방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숫자 배열의 구간 곱을 효율적으로 구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단순히 구간 [l, r]에 대해 곱을 구하려고 하면, 최악의 경우 시간복잡도가 O(n * m)이 되어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형 시간 이내에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1. 누적곱 배열

구간 곱을 효율적으로 구하기 위해, 누적곱(Cumulative Product) 배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rray의 i번째 원소까지의 곱을 저장하여, 구간 곱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cumulativeProduct[i] = arr[0] * arr[1] * ... * arr[i]

이 경우, 구간 곱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product(l, r) = cumulativeProduct[r] / cumulativeProduct[l-1]

여기서 cumulativeProduct[0]은 1로 초기화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선형 시간 O(n)으로 누적곱 배열을 생성한 후,
각 쿼리에 대해 O(1)로 구간 곱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음수 처리

다만, 부호가 음수일 경우 음수와 양수의 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음수의 개수를 파악하여 결과를 조정해야 합니다.

구간 내에 포함된 음수의 개수가 홀수이면 결과가 음수로, 짝수이면 양수로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추가적으로 음수를 선택하여 최대 곱을 구하는 로직이 필요해질 수 있습니다.

구현 코드

위의 접근 방법을 고려하여 코틀린으로 코드를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fun getCumulativeProducts(arr: IntArray): IntArray {
        val n = arr.size
        val cumulativeProduct = IntArray(n)
        cumulativeProduct[0] = arr[0]
        
        for (i in 1 until n) {
            cumulativeProduct[i] = cumulativeProduct[i - 1] * arr[i]
        }
        
        return cumulativeProduct
}

이어서 구간 곱을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겠습니다.

fun rangeProduct(cumulativeProduct: IntArray, l: Int, r: Int): Int {
        if (l == 0) return cumulativeProduct[r]
        return cumulativeProduct[r] / cumulativeProduct[l - 1]
}

마지막으로, 전체 알고리즘을 결합해보겠습니다.

fun main() {
    val arr = intArrayOf(2, 3, 4, 5)
    val cumulativeProduct = getCumulativeProducts(arr)
    val queries = listOf(Pair(1, 3), Pair(0, 2))

    for (query in queries) {
        val (l, r) = query
        val result = rangeProduct(cumulativeProduct, l, r)
        println("구간 ($l, $r)의 곱: $result")
    }
}

복잡도 분석

– 시간 복잡도: O(n + m) (여기서 n은 배열의 크기, m은 요청의 수)

– 공간 복잡도: O(n) (누적곱 배열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이러한 방법을 통해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누적곱 배열을 이용하면 곱을 한 번에 계산할 수 있어 각 쿼리에 대해 빠르게 결과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결론

이번 강좌에서는 구간 곱 구하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누적곱 배열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구현하였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은 다양한 배열 문제를 다루는 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질문이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을 통해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계단 수 구하기

오늘은 코틀린을 사용하여 ‘계단 수 구하기’라는 흥미로운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해보겠습니다. 본 강좌에서는 문제의 정의, 규칙, 해결 전략 및 코드를 구현하는 과정까지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다루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문제 정의

계단 수는 수의 자릿수에 따라 정의되는 수로, 각 자리의 수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릅니다:

  • 맨 마지막 자리의 수와 그 앞 자리의 수 차이가 1이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123, 321, 456은 계단 수입니다. 그러나 122, 200, 300은 계단 수가 아닙니다.

주어진 정수 N이 있을 때, N자리로 이루어진 계단 수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입력값 N을 고려하여 출력값을 계산하는 방식을 설명하겠습니다.

2. 문제 규칙

– 입력 최대 자리 수는 100이며, N이 1일 경우에는 0에서 9까지의 수를 포함하여 10개의 계단 수가 존재합니다.
– 각 자리 수를 0에서 9까지의 숫자로 고려할 수 있으며, 첫 자리 수는 0이 될 수 없습니다.
– 자리 수가 증가함에 따라 계단 수의 조합 가능성이 증가합니다.

3. 해결 전략

이 문제는 동적 프로그래밍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기본 아이디어는 자릿수 별로 가능한 계단 수의 개수를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음 자릿수의 계단 수 개수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 각 자릿수에 대해 가능한 마지막 숫자를 고려하여 이전 자릿수에서의 값을 통해 새로운 값을 계산합니다.
  • 예를 들어, dp[n][digit]는 n자리 수에서 마지막 숫자가 digit일 때 계단 수의 개수를 저장하는 배열입니다.
  • 따라서 dp[n][digit]dp[n-1][digit-1]dp[n-1][digit+1]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3.1. 점화식

아래와 같은 점화식을 통해 dp 배열을 구성해 나갈 수 있습니다.


    dp[n][0] = dp[n-1][1]
    dp[n][9] = dp[n-1][8]
    dp[n][digit] = dp[n-1][digit-1] + dp[n-1][digit+1] (1 <= digit <= 8)
    

4. 코드 구현

이제 문제 해결을 위한 코드를 구현해 보겠습니다. 아래는 코틀린을 사용한 코드입니다.


    fun countStairNumbers(n: Int): Int {
        if (n == 1) return 10 // N이 1일 때 계단 수는 0~9까지

        val mod = 1000000000 // 결과를 출력할 때 사용하는 모듈러 연산
        val dp = Array(n + 1) { IntArray(10) }

        // 초기값 설정
        for (j in 1..9) {
            dp[1][j] = 1 // 첫 자리 숫자는 1~9까지
        }

        // DP 배열 구성
        for (i in 2..n) {
            for (j in 0..9) {
                if (j == 0) {
                    dp[i][j] = dp[i - 1][1] // 0은 이전 자리의 1에서만 가능
                } else if (j == 9) {
                    dp[i][j] = dp[i - 1][8] // 9는 이전 자리의 8에서만 가능
                } else {
                    dp[i][j] = (dp[i - 1][j - 1] + dp[i - 1][j + 1]) % mod
                }
            }
        }

        // 총 계단 수 계산
        var result = 0
        for (j in 0..9) {
            result = (result + dp[n][j]) % mod
        }

        return result
    }

    fun main() {
        val n = readLine()!!.toInt() // 입력값 받기
        println(countStairNumbers(n)) // 계단 수 출력
    }
    

5. 실행 및 결과

위 코드를 실행하면 입력된 N값에 따라 계단 수의 개수가 출력됩니다. 아래는 몇 가지 테스트 케이스에 대한 결과입니다.

  • 입력: 1 → 출력: 10
  • 입력: 2 → 출력: 17
  • 입력: 3 → 출력: 32

각 입력값에 대해 계단 수의 개수가 잘 계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결론

본 강좌에서 우리는 ‘계단 수 구하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적 프로그래밍을 활용했습니다. 문제 해결 과정에서 점화식과 DP 배열을 구성하는 방법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실제 코드를 작성해보았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되므로 충분한 연습을 통해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를 다루어 볼 예정이며, 코틀린을 통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경로 찾기

1. 문제 소개

경로 찾기 문제는 주어진 그래프에서 특정 노드(정점) 간의 경로를 찾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코딩 테스트와 알고리즘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 기본적이고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본 강좌에서는 코틀린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2. 문제 정의

주어진 그래프에서 시작 노드(start)와 목표 노드(goal) 간의 경로가 존재하는지 판별하고,
경로가 존재할 경우 해당 경로를 출력하세요.

입력 형식

  • 첫 번째 줄: 정점의 개수 N (1 <= N <= 1000)
  • 두 번째 줄: 간선의 개수 M (0 <= M <= 10000)
  • 세 번째 줄부터 M개의 줄: 간선의 정보 (정점 A, 정점 B)
  • 마지막 줄: 시작 노드와 목표 노드 (start, goal)

출력 형식

  • 경로가 존재하면 그 경로를 출력하고, 존재하지 않으면 “경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라고 출력합니다.

3. 문제 해결 전략

경로 찾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너비 우선 탐색(BFS)
  • 깊이 우선 탐색(DFS)

여기서는 BFS를 사용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BFS는 레벨 단위로 탐색을 진행하므로,
최단 경로를 찾는 데 유리합니다.

4. 알고리즘 구현 (코틀린 예제)

            
                import java.util.*

                fun bfs(graph: Array>, start: Int, goal: Int): List? {
                    val queue: Queue = LinkedList()
                    val visited = BooleanArray(graph.size)
                    val parent = IntArray(graph.size) { -1 }

                    queue.add(start)
                    visited[start] = true

                    while (queue.isNotEmpty()) {
                        val current = queue.poll()

                        if (current == goal) {
                            return constructPath(parent, start, goal)
                        }

                        for (neighbor in graph[current]) {
                            if (!visited[neighbor]) {
                                visited[neighbor] = true
                                parent[neighbor] = current
                                queue.add(neighbor)
                            }
                        }
                    }
                    return null
                }

                fun constructPath(parent: IntArray, start: Int, goal: Int): List {
                    val path = mutableListOf()
                    var at = goal
                    while (at != -1) {
                        path.add(at)
                        at = parent[at]
                    }
                    path.reverse()
                    return path
                }

                fun main() {
                    val scanner = Scanner(System.`in`)
                    val N = scanner.nextInt() // 정점 수
                    val M = scanner.nextInt() // 간선 수
                    
                    val graph = Array(N) { mutableListOf() }
                    
                    for (i in 0 until M) {
                        val u = scanner.nextInt()
                        val v = scanner.nextInt()
                        graph[u].add(v)
                        graph[v].add(u) // 무향 그래프
                    }

                    val start = scanner.nextInt()
                    val goal = scanner.nextInt()

                    val path = bfs(graph, start, goal)
                    if (path != null) {
                        println("경로: ${path.joinToString(" -> ")}")
                    } else {
                        println("경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
            
        

5. 코드 설명

위의 코드는 BFS를 기반으로 한 경로 찾기 구현입니다.

  • bfs(graph, start, goal): 주어진 그래프에서 시작 노드부터 목표 노드까지의 경로를 탐색합니다.
    큐를 사용하여 탐색을 진행하고, 방문한 노드는 visited 배열에 기록합니다.
    목표 노드에 도달하면 부모 정보를 바탕으로 경로를 반환합니다.
  • constructPath(parent, start, goal): 목표 노드에서 시작 노드까지의 경로를 재구성합니다.
    각 노드의 부모 정보를 이용해 경로를 tracing하고 배열을 반환합니다.

6. 시간 복잡도 분석

BFS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V + E)입니다. 여기서 V는 정점의 수, E는 간선의 수를 의미합니다.
이 문제의 경우 최대 1000개의 정점과 10000개의 간선을 가질 수 있어, 효율적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7. 맺음말

본 강좌에서는 코틀린을 활용하여 경로 찾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BFS 알고리즘을 통해 그래프에서 가장 효율적인 경로 탐색 방법을 제시했으며,
실제 코드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도 확인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DFS 방식의 구현과 차이점을 알아보면 더 많은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강좌가 코딩 테스트 준비 및 알고리즘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2023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거짓말쟁이가 되긴 싫어

문제 설명

우리 마을에는 여러 명의 주민들이 있습니다. 이 주민들 중에서 일부는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기 위해 거짓말을 합니다. 과연 우리가 알고 있는 정보 중에서 거짓말쟁이를 판별할 수 있을까요?

문제 정리

주어진 N명의 주민들이 자신의 이웃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각 주민은 자신이 이웃으로 생각하는 주민들이 누구인지, 그런 주민들이 자신에 대해 어떤 말을 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습니다. 우리는 각 주민이 자신을 기만하고 있는지를 판별하려고 합니다. 결국 이 문제는 주민들의 진술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입력 형식

첫 번째 줄에 주민의 수 N이 입력됩니다. 이후 N줄에 걸쳐 각 주민의 인덱스, 그 주민이 생각하는 이웃의 수 M, 그리고 M명의 이웃에 대한 정보가 흩어져서 입력됩니다. 이웃의 정보는 각각 그 이웃의 인덱스와 해당 인덱스에 대한 진술이 거짓인지 진실인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됩니다.

출력 형식

각 주민이 거짓말쟁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YES 또는 NO로 결과를 출력합니다.

예시 입력

    3
    0 2 1 1 0
    1 1 0
    2 1 1
    

예시 출력

    NO
    NO
    YES
    

문제 풀이 과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릅니다.

1단계: 문제 이해

주민들의 발언에서 진실과 거짓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각 주민이 이웃에 대해 한 말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주민의 진술 간의 일관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주민이 B를 이웃이라고 주장하는 경우, B가 A를 거짓말이라고 주장하면, A가 진짜 거짓말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단계: 데이터 구조 설계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열 또는 리스트를 이용하여 주민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각 주민에 대한 정보를 담기 위해 각 주민의 인덱스 (0부터 시작)와 이웃의 정보를 담는 리스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적절합니다. 이를 위해 Pair 클래스를 사용하여 주민 정보를 구성하는 것도 좋습니다.

3단계: 알고리즘 설계

주어진 주민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우리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주민들의 발언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알고리즘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1. 주민의 수 N을 입력받는다.
    2. 각 주민의 정보를 담기 위해 리스트를 초기화 한다.
    3. 주민 각각에 대하여 이웃의 정보와 진술을 입력받아 저장한다.
    4. 각 주민의 이웃의 진술이 서로 일치하는지를 체크한다.
    5.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당 주민을 거짓말쟁이로 판별한다.
    6. 결과를 출력한다.
    

4단계: 코틀린 코드 구현

이제 본격적으로 알고리즘을 코틀린 코드로 구현합니다. 아래는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코틀린 코드입니다.


    data class Neighbor(val index: Int, val isLiar: Boolean)

    fun findLiar(N: Int, statements: List>): List {
        val result = MutableList(N) { "NO" }

        for (i in 0 until N) {
            val neighbors = statements[i]
            for (neighbor in neighbors) {
                val expectedTruth = !neighbor.isLiar
                if (expectedTruth && result[neighbor.index] == "YES") {
                    result[i] = "YES"
                    break
                } else if (!expectedTruth && result[neighbor.index] == "NO") {
                    result[i] = "YES"
                    break
                }
            }
        }
        return result
    }

    fun main() {
        val N = readLine()!!.toInt()
        val statements = mutableListOf>()

        for (i in 0 until N) {
            val input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val M = input[1]
            val neighbors = mutableListOf()

            for (j in 0 until M) {
                val neighborIndex = input[2 + j * 2]
                val liar = input[3 + j * 2] == 1
                neighbors.add(Neighbor(neighborIndex, liar))
            }
            statements.add(neighbors)
        }

        val result = findLiar(N, statements)
        for (r in result) {
            println(r)
        }
    }
    

5단계: 테스트 및 검증

코드가 완성되었으면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를 통해 코드를 검증해야 합니다. 최소 입력, 최대 입력,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코드의 전반적인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론

이번 문제를 통해 코틀린에서 알고리즘 문제를 어떻게 접근하고 해결하는지를 배웠습니다. 주민들의 진술을 분석하여 진실과 거짓을 규명하는 과정은 문제 해결에 필요한 논리적 사고를 발전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복잡한 문제를 단순한 데이터 구조와 알고리즘 변형을 통해 접근하는 방법을 익히게 되어 많은 도움이 되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이제 여러분도 조심스럽게 거짓말쟁이를 찾아내는 알고리즘을 구현해 보시기 바랍니다!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게임 개발하기

문제 설명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되는 문제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활용해야 합니다. 이번 문제는 플레이어가 몬스터를 처치하는 게임을 기반으로 한 알고리즘 문제입니다.
주어진 몬스터의 체력과 플레이어의 공격력이 주어졌을 때, 플레이어가 몬스터를 처치하는 데 필요한 최소 공격 횟수를 계산하는 것입니다.
각각의 몬스터는 고유한 체력을 가지고 있으며, 플레이어는 매 공격마다 일정량의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문제

        
        주어진 N개의 몬스터와 플레이어의 공격력 K에 대해, 각 몬스터의 체력이 주어질 때,
        플레이어가 모든 몬스터를 처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공격 횟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입력 형식:
        - 첫 번째 줄에는 몬스터의 수 N (1 ≤ N ≤ 10^5)과 공격력 K (1 ≤ K ≤ 10^4)가 주어집니다.
        - 두 번째 줄에는 각 몬스터의 체력 H[i] (1 ≤ H[i] ≤ 10^5) 가 N개의 정수로 주어집니다.

        출력 형식:
        - 플레이어가 몬스터를 처치하는 데 필요한 최소 공격 횟수를 출력합니다.
        
        

접근 방식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접근 방식을 사용합니다:

  1. 먼저, 플레이어의 공격력이 몬스터의 체력에 비례하여 몬스터를 처치하는데 필요한 공격 횟수를 계산합니다.
  2. 각 몬스터에 대해 필요한 공격 횟수를 구한 후, 전체 몬스터를 처치하는 데 필요한 공격 횟수를 합산합니다.
  3. 최종적으로 계산된 공격 횟수를 출력합니다.

단계별 풀이

1단계: 입력 값 처리

입력값으로 몬스터의 수 N과 플레이어의 공격력 K를 입력받습니다.
그 다음 N개의 몬스터 체력을 배열로 입력받아야 합니다. 코틀린의 표준 입력을 사용하여 이를 처리합니다.

2단계: 각 몬스터에 대한 공격 횟수 계산

각 몬스터의 체력 H[i]에 대해, 몬스터를 처치하기 위한 공격 횟수는 (H[i] + K – 1) / K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몬스터의 체력을 플레이어의 공격력으로 나누고, 올림 처리를 하여 얻습니다.
예를 들어, 만약 H[i]가 10이고 K가 3이라면, 최소 공격 횟수는 (10 + 3 – 1) / 3 = 4입니다.

3단계: 모든 몬스터에 대한 총 공격 횟수 계산

각 몬스터의 공격 횟수를 구한 후, 이를 모두 합산하면 최종적으로 필요한 총 공격 횟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코드

        
        fun main() {
            // 입력 받기
            val (N, K)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val healthList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 총 필요한 공격 횟수를 계산할 변수
            var totalAttacks = 0

            // 각 몬스터에 대해 필요한 공격 횟수 계산
            for (health in healthList) {
                totalAttacks += (health + K - 1) / K  // 올림 처리
            }

            // 결과 출력
            println(totalAttacks)
        }
        
    

결과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플레이어가 모든 몬스터를 처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공격 횟수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통해 몬스터의 체력과 플레이어의 공격력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문제를 수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결론

이번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에서는 간단한 게임 개발 기반의 알고리즘 문제를 다루어 보았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수학적 접근과 코딩 기법을 결합함으로써, 효율적인 코드를 작성하고 최적화된 결과를 얻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앞으로 더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를 접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연습한다면 더욱 전문적인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