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절댓값 힙 구현하기

코틀린(Kotlin)은 현대적이고 간결한 문법과 강력한 기능 덕분에 최근 많은 개발자들 사이에서 사랑받고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코딩 테스트, 즉 알고리즘 문제 풀이에서도 코틀린은 그 유용함을 발휘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코틀린을 사용하여 절댓값 힙(Absolute Value Heap)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합니다.

문제 설명

절댓값 힙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절댓값 힙은 항상 절댓값이 가장 작은 값을 상단에 두는 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입니다.
만약 절댓값이 같은 값이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 그 값 중 실제 값이 더 작은 것을 우선시합니다.

힙의 연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 INSERT X: 정수 X (우선순위 큐에 추가)
  • EXTRACT: 절댓값이 가장 작은 정수 삭제 후 출력

입력 형식

프로그램의 입력은 여러 줄로 주어지며, 각 줄에 대한 명령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 줄은 ‘INSERT X’ 또는 ‘EXTRACT’ 형태로 주어집니다.

출력 형식

‘EXTRACT’ 명령이 호출될 때마다 출력된 값이 한 줄에 출력됩니다.

예제


    INPUT:
    INSERT -5
    INSERT 3
    INSERT -1
    EXTRACT
    EXTRACT
    INSERT -2
    EXTRACT
    EXTRACT
    EXTRACT
    

OUTPUT:
-1
-2
3

문제 분석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 우선순위 큐(Priority Queue)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 Java의 힙 구조를 활용할까? 아니면 코틀린의 컬렉션을 활용할까?
  • 절댓값에 따라 정렬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절댓값 힙을 만들기 위해서는 최소 힙(min-heap) 구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바에서는 PriorityQueue를 사용하여 이를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코틀린에서도 이를 활용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힙 구조를 통해 우리가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구현 과정

1. 데이터 구조 정의

절댓값 힙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우리는 절댓값을 기준으로 정렬해야 하므로, PriorityQueue를 활용하여 요소를 추가하고 제거합니다.
요소를 추가할 때는 절댓값과 원래 값을 함께 설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2. Comparator 정의

PriorityQueue에서 우선순위를 정의하기 위해 커스텀 정렬 규칙(Comparator)을 정의합니다.
여기서는 절댓값이 작은 값이 먼저 와야 하며, 절댓값이 같을 경우 실제 값이 더 작은 값을 우선시해야 합니다.


    val comparator = Comparator> { a, b ->
        if (Math.abs(a.first) == Math.abs(b.first)) {
            a.first.compareTo(b.first)
        } else {
            Math.abs(a.first).compareTo(Math.abs(b.first))
        }
    }
    

3. 명령 처리

입력된 명령을 처리하기 위해 루프를 실행합니다.
명령이 INSERT X일 경우 힙에 값을 추가하고, EXTRACT 명령일 경우 힙에서 값을 제거하고 출력합니다.


    val priorityQueue = PriorityQueue>(comparator)

    val reader = 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val n = reader.readLine().toInt()
    
    repeat(n) {
        val command = reader.readLine().split(" ")
        when (command[0]) {
            "INSERT" -> {
                val value = command[1].toInt()
                priorityQueue.add(Pair(value, value))
            }
            "EXTRACT" -> {
                if (priorityQueue.isNotEmpty()) {
                    println(priorityQueue.poll().first)
                } else {
                    println(0)
                }
            }
        }
    }
    

전체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PriorityQueue

    fun main() {
        val comparator = Comparator> { a, b ->
            if (Math.abs(a.first) == Math.abs(b.first)) {
                a.first.compareTo(b.first)
            } else {
                Math.abs(a.first).compareTo(Math.abs(b.first))
            }
        }

        val priorityQueue = PriorityQueue>(comparator)

        val reader = 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System.`in`))
        val n = reader.readLine().toInt()

        repeat(n) {
            val command = reader.readLine().split(" ")
            when (command[0]) {
                "INSERT" -> {
                    val value = command[1].toInt()
                    priorityQueue.add(Pair(value, value))
                }
                "EXTRACT" -> {
                    if (priorityQueue.isNotEmpty()) {
                        println(priorityQueue.poll().first)
                    } else {
                        println(0)
                    }
                }
            }
        }
    }
    

결론

절댓값 힙을 구현하는 것은 동적 데이터 구조의 중요한 부분으로, 다양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번 강좌를 통해 코틀린에서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힙을 구현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느낄 수 있었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를 함께 풀어보며 실력을 향상시켜 나가길 기대합니다!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정수를 1로 만들기

안녕하세요, 코딩테스트를 준비하고 있는 여러분! 오늘은 정수를 1로 만드는 문제를 함께 풀어보겠습니다. 이 문제는 알고리즘의 기초를 다지기에 아주 좋은 연습문제이며, 코틀린을 사용하여 해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 설명

정수 N이 주어질 때, N을 1로 만드는 최소의 연산 횟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사용할 수 있는 연산은 아래와 같습니다:

  • N이 3으로 나누어 떨어지면, N을 3으로 나눈다.
  • N이 2로 나누어 떨어지면, N을 2로 나눈다.
  • 1을 빼준다.

예를 들어, N이 10일 경우, 10 -> 9 -> 3 -> 1의 과정으로 3번의 연산이 필요합니다.

문제 접근 방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P) 기법을 사용할 것입니다. DP는 기존의 문제들을 잘게 나누어 푸는 방식입니다. 이 문제의 경우, N을 1로 만들기 위한 각 숫자의 최소 연산 횟수를 저장하는 배열을 만들어 사용할 것입니다.

단계별 접근

  1. 배열 초기화: 정수 N의 크기만큼 배열을 만들고, 각 인덱스에 기본값으로 -1로 초기화합니다.
  2. 기저 사례 설정: 배열의 1번 인덱스에는 0을 저장합니다. 이는 1을 만드는 데 필요한 연산이 0임을 나타냅니다.
  3. 반복문을 통한 DP 테이블 업데이트: 2부터 N까지 반복문을 통해 각 숫자에 대해 최소 연산 횟수를 계산합니다. 이때, 나누기 연산과 빼기를 통해 새로운 값을 계산하고 이를 배열에 저장합니다.
  4. 결과 출력: 마지막에 계산한 N의 값을 메인 배열에서 가져와 출력합니다.

코틀린 코드


fun minOperationsToOne(n: Int): Int {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테이블 초기화
    val dp = IntArray(n + 1) { Int.MAX_VALUE }
    dp[1] = 0 // 1은 1로 만들기 위해 0개의 연산 필요

    for (i in 2..n) {
        // 1 빼기
        dp[i] = dp[i - 1] + 1
        
        // 2로 나누기
        if (i % 2 == 0) {
            dp[i] = minOf(dp[i], dp[i / 2] + 1)
        }
        
        // 3으로 나누기
        if (i % 3 == 0) {
            dp[i] = minOf(dp[i], dp[i / 3] + 1)
        }
    }
    return dp[n]
}

fun main() {
    val n = 10 // 테스트 입력
    println("정수를 1로 만드는 최소 연산 횟수: ${minOperationsToOne(n)}")
}
    

코드 설명

위 코드는 주어진 정수 N을 1로 만드는 최소 연산 횟수를 계산합니다. minOperationsToOne 함수는 정수를 입력받아 동적 프로그래밍을 통해 최소 연산 횟수를 구합니다. 각 연산별로 조건을 체크하여 가능한 최소 횟수를 업데이트합니다. 특히 2로 나누기와 3으로 나누기는 조건문으로 체크하여 적절한 경우에만 연산을 수행합니다.

실행 결과

위의 코드를 실행시키면, 주어진 입력 N에 대해 정수를 1로 만들기 위한 최소 연산 횟수가 출력됩니다. 예를 들어, N이 10인 경우, ‘정수를 1로 만드는 최소 연산 횟수: 3’이 출력됩니다.

시간 복잡도 분석

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N)입니다. 배열을 한 번 스캔하며 각 연산에 대해 상수 시간의 작업을 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계산이 가능합니다. 공간 복잡도는 O(N)으로 DP 배열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합니다.

결론

오늘은 정수를 1로 만드는 문제를 다루었습니다. 코틀린을 사용하여 문제를 풀면서 다이나믹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익힐 수 있었습니다. 이와 같은 유형의 문제는 취업 준비과정에서 자주 출제되므로, 꾸준히 연습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음 강좌에서도 유익한 내용을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

참고 자료

감사합니다!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임계 경로 구하기

작성일: 2023년 10월 1일

작성자: 조광형

문제 정의

주어진 연결된 그래프에서 시작 노드부터 도착 노드까지의 임계 경로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임계 경로란 그래프에서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 시간 또는 거리를 나타내며, 프로젝트 관리 및 자원의 최적 배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각 작업이 완료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 주어졌다고 가정합니다. 각 작업이 완료되기 위해서는 다른 작업들이 먼저 완료되어야 하는 조건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을 반영한 Directed Acyclic Graph (DAG)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입력 형식

  • 첫 번째 줄에 자연수 N (작업의 수)이 주어진다.
  • 다음 N개의 줄에는 작업의 번호, 소요 시간, 의존 작업의 번호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의존 작업은 없으면 -1로 표시된다.

출력 형식

임계 경로의 길이 (총 소요 시간)를 출력한다.

예시

입력

            5
            1 3 -1
            2 2 1
            3 1 1
            4 4 2
            5 2 3
            

출력

            9
            

문제 풀이 과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릅니다:

  1. 그래프 모델링: 각 작업을 노드로, 의존 관계를 간선으로 표현하여 Directed Acyclic Graph (DAG)를 생성합니다.
  2. 위상 정렬: 간선을 따라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의 의존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위상 정렬을 수행하여 노드를 정렬합니다.
  3. 최장 경로 계산: 위상 정렬 결과를 따라 각 작업의 소요 시간을 누적하여 최장 경로를 계산합니다. 노드가 가지는 소요 시간의 최대값을 저장하여 최종 결과를 도출합니다.

코틀린 코드 구현

            fun main() {
                val n = readLine()!!.toInt()
                val time = IntArray(n + 1)
                val graph = Array(n + 1) { mutableListOf() }
                val indegree = IntArray(n + 1)
                
                for (i in 1..n) {
                    val input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time[i] = input[1]
                    if (input[2] != -1) {
                        graph[input[2]].add(i)
                        indegree[i]++
                    }
                }

                val dp = IntArray(n + 1)
                val queue: Queue = LinkedList()

                for (i in 1..n) {
                    if (indegree[i] == 0) {
                        queue.offer(i)
                        dp[i] = time[i]
                    }
                }

                while (queue.isNotEmpty()) {
                    val current = queue.poll()
                    for (next in graph[current]) {
                        dp[next] = maxOf(dp[next], dp[current] + time[next])
                        indegree[next]--
                        if (indegree[next] == 0) {
                            queue.offer(next)
                        }
                    }
                }

                println(dp.maxOrNull())
            }
            

코드 설명

위 코드는 아래와 같은 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작업의 수 N을 입력받습니다.
  2. 작업의 실행 시간을 저장하는 time 배열과 그래프 간선을 저장하는 graph 배열을 초기화합니다.
  3. 각 작업의 의존 관계를 읽어들여 그래프와 진입 차수를 설정합니다.
  4. Queue를 사용하여 위상 정렬을 수행하며 최장 경로를 계산합니다. 각 작업의 소요 시간을 dp 배열에 누적합니다.
  5. 최장 경로의 결과를 출력합니다.

문제 해결 전략

임계 경로 구하기 문제는 프로젝트 관리에서 시간 관리를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 코드 최적화: 성능을 고려하여 알고리즘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분석 및 계획: 문제 요구 사항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계획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유사 문제 연습: 유사한 문제를 통해 경험을 쌓고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이 글은 코틀린을 활용한 알고리즘 문제풀이 강좌의 일환입니다. 추가적인 질문이나 피드백은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이항계수 구하기 1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틀린을 사용하여 이항계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항계수는 조합(combination)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주어진 n개의 객체 중 k개의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를 나타냅니다. 이 항목은 코딩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되므로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문제 설명

어떤 정수 n과 k가 주어졌을 때, nCk (n choose k)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이항계수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정의됩니다:

C(n, k) = n! / (k! * (n - k)!)

여기서 n!은 n의 팩토리얼을 의미합니다. 팩토리얼은 1부터 n까지의 모든 자연수의 곱입니다.

입력 형식

첫 번째 줄에 정수 n(0 ≤ n ≤ 30)과 k(0 ≤ k ≤ n)가 주어진다.

출력 형식

nCk의 값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5 2

예제 출력

10

문제 해결 방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재귀를 이용한 팩토리얼 계산
  2. 동적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이항계수 계산

1. 재귀를 이용한 팩토리얼 계산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재귀를 이용하여 팩토리얼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이해하기 쉽지만 n이 커질수록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다음은 팩토리얼을 재귀적으로 계산하는 코틀린 예제입니다:

fun factorial(n: Int): Long {
    return if (n == 0 || n == 1) 1 else n * factorial(n - 1)
}

2. 동적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이항계수 계산

이항계수를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해서는 동적 프로그래밍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항계수는 Pascal의 삼각형의 성질을 통해 계산할 수 있으며, 다음의 점화식으로 정의됩니다:

C(n, k) = C(n - 1, k - 1) + C(n - 1, k)

기저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C(n, 0) = 1 (n >= 0)
  • C(n, n) = 1 (n >= 0)

Pascal의 삼각형에 따라 동적 프로그래밍 배열을 통해 이항계수를 계산해보겠습니다:

fun binomialCoefficient(n: Int, k: Int): Long {
    val dp = Array(n + 1) { LongArray(k + 1) }
    for (i in 0..n) {
        for (j in 0..minOf(i, k)) {
            if (j == 0 || j == i) {
                dp[i][j] = 1
            } else {
                dp[i][j] = dp[i - 1][j - 1] + dp[i - 1][j]
            }
        }
    }
    return dp[n][k]
}

코드 통합 예제

위의 방법들을 바탕으로 최종 코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fun main() {
    val input = readLine()!!.split(" ").map { it.toInt() }
    val n = input[0]
    val k = input[1]
    
    println(binomialCoefficient(n, k))
}

fun binomialCoefficient(n: Int, k: Int): Long {
    val dp = Array(n + 1) { LongArray(k + 1) }
    for (i in 0..n) {
        for (j in 0..minOf(i, k)) {
            if (j == 0 || j == i) {
                dp[i][j] = 1
            } else {
                dp[i][j] = dp[i - 1][j - 1] + dp[i - 1][j]
            }
        }
    }
    return dp[n][k]
}

결론

이항계수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재귀와 동적 프로그래밍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각 방법의 장단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항계수는 조합론뿐만 아니라 많은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으니, 이 개념을 확실히 이해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앞으로도 코틀린을 이용한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풀이 과정을 지속적으로 탐구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코틀린 코딩테스트 강좌, 이항계수 구하기 2

서론

코틀린은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테스트와 알고리즘 문제 풀이에 널리 사용됩니다. 이 강좌에서는 이항계수를 구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이항계수는 조합(combination)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이항계수를 구하는 두 가지 방법, 즉 재귀적 방법과 동적 프로그래밍 방법을 다룰 것입니다.

문제 설명

주어진 자연수 n과 k에 대해 nCk (n choose k)를 계산하는 문제를 풀어봅시다. 이항계수는 n! / (k! * (n-k)!)로 정의됩니다. 단, n과 k는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0 ≤ k ≤ n
  • n은 자연수로 주어진다.

예를 들어, n이 5이고 k가 2인 경우, 5C2는 10입니다. 왜냐하면 5! / (2! * (5-2)!) = 5! / (2! * 3!) = (5 × 4) / (2 × 1) = 10입니다.

해결 방법

1. 재귀적 방법

이항계수를 재귀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바탕이 되는 수식입니다. 이항계수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며 재귀적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C(n, k) = C(n-1, k-1) + C(n-1, k)

위의 수식을 기반으로 이항계수를 재귀적으로 구현해보겠습니다.


fun binomialCoefficient(n: Int, k: Int): Int {
    // Base case
    if (k == 0 || k == n) return 1
    // Recursive case
    return binomialCoefficient(n - 1, k - 1) + binomialCoefficient(n - 1, k)
}
            

2. 동적 프로그래밍 방법

재귀적 방법은 실행 시간과 메모리 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동적 프로그래밍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이전 계산 결과를 저장하여 불필요한 계산을 방지합니다. 이항계수를 계산하는 DP 테이블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fun binomialCoefficientDP(n: Int, k: Int): Int {
    // Create a 2D array to store results
    val dp = Array(n + 1) { IntArray(k + 1) }
    
    // Fill the table according to base cases
    for (i in 0..n) {
        for (j in 0..minOf(i, k)) {
            if (j == 0 || j == i) {
                dp[i][j] = 1
            } else {
                dp[i][j] = dp[i - 1][j - 1] + dp[i - 1][j]
            }
        }
    }
    
    // Result is stored at dp[n][k]
    return dp[n][k]
}
            

코드 실행 예

위의 두 방법을 통해 이항계수를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코틀린에서 이를 실행하는 방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fun main() {
    val n = 5 // n 값
    val k = 2 // k 값

    // 재귀적 방법 사용
    val resultRecursive = binomialCoefficient(n, k)
    println("재귀적 방법: $n C $k = $resultRecursive")

    // 동적 프로그래밍 방법 사용
    val resultDP = binomialCoefficientDP(n, k)
    println("동적 프로그래밍 방법: $n C $k = $resultDP")
}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재귀적 방법: 5 C 2 = 10
동적 프로그래밍 방법: 5 C 2 = 10
            

결론

이번 포스트에서는 코틀린을 활용하여 이항계수를 구하는 두 가지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재귀적 방법은 이해하기에 직관적이지만, 입력값이 커질수록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반면, 동적 프로그래밍은 메모리를 소모하지만 시간 복잡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알고리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이 강좌가 여러분의 코딩 테스트 준비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