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슬라이딩 윈도우

컴퓨터 과학에서 알고리즘 문제는 우리에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중에서도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은 배열이나 문자열과 같은 선형 데이터 구조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연속적인 부분 배열을 찾는 데 사용됩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을 활용한 문제를 한 가지 풀어보며, 이 기법이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한지 살펴보겠습니다.

문제 설명

주어진 정수 배열 nums와 정수 k에 대해 k의 크기를 가지는 부분 배열 중 최대 합을 가진 부분 배열의 합을 구하시오.
즉, 연속적으로 k개 요소의 합을 최대화하는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배열 nums = [1, 3, 2, 5, 4, 8]이고 k = 3일 때,
부분 배열 [5, 4, 8]의 합이 가장 크므로 답은 17이 됩니다.

문제 요구 사항

  • 함수의 입력: 정수 배열 nums와 정수 k
  • 함수의 출력: 최대 부분 배열의 합

문제 접근 방법

이 문제를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을 사용하여 풀면, 입력 배열을 한 번만 순회하여 시간 복잡도를 O(n)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본 기법의 아이디어는 두 개의 포인터를 사용하여 현재 윈도우의 시작과 끝을 조절하여, 부분 배열의 합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 설명

  1. 초기 윈도우를 정의합니다. 포인터를 이용하여 첫 번째 k개의 요소를 선택하고 이들의 합을 계산합니다.
  2. 그 후, 두 번째 윈도우로 이동하면서 윈도우의 시작 부분에서 하나의 요소를 제거하고 끝 부분에 하나의 요소를 추가합니다.
    이 과정을 배열의 끝까지 반복합니다.
  3. 각 단계에서 얻은 윈도우의 합을 기록하고, 이전에 기록한 최대 합과 비교하여 최대 합을 업데이트합니다.

코드 구현


def max_sum_subarray(nums, k):
    # 초기 윈도우 계산
    max_sum = sum(nums[:k])
    window_sum = max_sum
    
    # 슬라이딩 윈도우 적용
    for i in range(k, len(nums)):
        # 현재 윈도우에서 가장 왼쪽 숫자를 제거하고 새로 추가된 숫자를 더합니다.
        window_sum += nums[i] - nums[i - k]
        max_sum = max(max_sum, window_sum)
    
    return max_sum

# 예제 실행
nums = [1, 3, 2, 5, 4, 8]
k = 3
result = max_sum_subarray(nums, k)
print(f"최대 부분 배열의 합: {result}")

코드 설명

위의 함수 max_sum_subarray는 배열 nums와 정수 k를 인자로 받아 최대 합을 반환합니다.
먼저, 초기 윈도우의 합을 구한 후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을 통해 배열을 순회합니다.
각 윈도우의 합은 이전 합에서 가장 왼쪽 요소를 제거하고 새 요소를 추가하여 구하고,
각 윈도우의 합을 기록하여 최대 합을 업데이트합니다.

결과 및 테스트

위의 예제를 실행하면 최대 부분 배열의 합: 17이라는 결과가 출력됩니다.
이처럼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을 활용하면 한 번의 순회만으로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이번 강좌에서는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을 활용하여 배열에서 최대 부분 합을 구하는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이 기법은 동일한 요소를 반복해서 비교할 필요 없이 전체 배열을 단 한 번만 순회하여 시간 복잡도를 줄일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여러 다른 문제에서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실전 코딩 테스트와 알고리즘 문제가 빈번히 출제되는 분야에서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스택과 큐

목차

  1. 1. 서론
  2. 2. 스택(Stack)
  3. 3. 큐(Queue)
  4. 4. 알고리즘 문제 설명
  5. 5. 문제 풀이 과정
  6. 6. 결론

1. 서론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두 가지는 스택과 큐입니다. 이 자료구조들은 각각 고유의 일관된 작동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스택과 큐의 개념을 설명하고, 이들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알고리즘 문제를 다룰 것입니다.

2. 스택(Stack)

스택은 후입선출(LIFO, Last In First Out) 구조를 가진 자료구조입니다. 가장 최근에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방식입니다. 스택의 주요 연산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 push(item): 스택의 맨 위에 item을 추가합니다.
  • pop(): 스택의 맨 위에 있는 아이템을 제거하고 반환합니다.
  • peek(): 스택의 맨 위에 있는 아이템을 반환하되 제거하지 않습니다.
  • is_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3. 큐(Queue)

큐는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구조를 가진 자료구조입니다. 가장 먼저 삽입된 데이터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방식입니다. 큐의 주요 연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 enqueue(item): 큐의 끝에 item을 추가합니다.
  • dequeue(): 큐의 맨 앞에 있는 아이템을 제거하고 반환합니다.
  • peek(): 큐의 맨 앞에 있는 아이템을 반환하되 제거하지 않습니다.
  • is_empty(): 큐가 비어있으면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4. 알고리즘 문제 설명

이번에 우리가 풀어볼 문제는 스택과 큐를 활용한 괄호의 유효성 검사입니다.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어진 문자열이 괄호로만 이루어져 있을 때, 괄호가 올바르게 닫히는지를 확인하는 함수를 작성하시오. 올바른 괄호 표현은 모든 열린 괄호가 올바르며 각각의 닫힌 괄호가 열린 괄호와 짝이 맞아야 합니다.

입력

입력은 하나의 문자열로 주어지며, 이 문자열은 다음 괄호들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출력

모든 괄호가 올바르게 닫혀 있으면 True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5. 문제 풀이 과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택을 사용할 것입니다. 입력된 문자열을 한 글자씩 처리하면서 열린 괄호는 스택에 추가하고, 닫힌 괄호가 등장할 때 스택에서 열린 괄호와 매칭되는지를 확인합니다. 다음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입니다:

단계 1: 스택 초기화

문자열의 각 문자를 순회하기 위해 빈 리스트를 이용한 스택을 초기화합니다.

단계 2: 괄호 매핑 설정

열린 괄호와 닫힌 괄호의 관계를 정의하기 위해 딕셔너리를 만듭니다.

단계 3: 문자열 순회

문자열을 한 글자씩 순회하면서 열린 괄호일 경우 스택에 추가합니다. 닫힌 괄호일 경우 스택의 맨 위의 요소와 매칭하여 확인합니다.

단계 4: 스택 상태 확인

문자열 순회가 끝난 후, 스택에 남아있는 내용물이 없다면 모든 괄호가 올바르게 닫힌 것입니다.

파이썬 코드 구현


def is_valid_parentheses(s: str) -> bool:
    stack = []
    mapping = {")": "(", "}": "{", "]": "["}
    
    for char in s:
        if char in mapping:  # 닫힌 괄호인 경우
            top_element = stack.pop() if stack else '#'  # 스택에서 꺼내기
            if mapping[char] != top_element:  # 매핑 확인
                return False
        else:  # 열린 괄호인 경우
            stack.append(char)  # 스택에 추가
    
    return not stack  # 스택이 비어있으면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
    

단계별 설명

이제 각 단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스택 초기화

“stack = []“로 스택을 빈 리스트로 초기화합니다. 스택은 괄호들이 올바른 순서로 열리고 닫히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괄호 매핑 설정

“mapping = {“)”: “(“, “}”: “{“, “]”: “[“}“와 같이 딕셔너리를 생성하여 각 닫힌 괄호에 대한 매칭 열린 괄호를 정의합니다. 이 매핑은 닫힌 괄호를 만났을 때, 스택의 맨 위의 요소와 비교하는 데 사용됩니다.

문자열 순회

문자열을 for 루프를 사용하여 한 문자씩 순회합니다. 만약 문자가 닫힌 괄호라면 스택에서 요소를 꺼내서 매핑된 열린 괄호와 비교합니다. 만약 열었다가 닫힌 괄호가 매칭되지 않는다면, 유효하지 않으므로 False를 반환합니다. 만약 문자가 열린 괄호라면, 스택에 추가합니다.

스택 상태 확인

완전 순회 후 스택이 비어있다면 모든 열린 괄호가 올바르게 닫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eturn not stack는 스택이 비어있으면 True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6. 결론

이번 강좌에서는 스택과 큐의 기본 개념을 먼저 살펴보고, 스택을 활용한 괄호 유효성 검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다뤘습니다. 스택은 후입선출의 구조로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에 유용하게 사용되며, 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큐 또한 중요한 자료 구조로, FIFO 방식으로 작동하여 많은 문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스택과 큐는 코딩 문제를 푸는 기초로, 이러한 자료 구조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자주 요구됩니다. 이 글에서 다룬 내용을 바탕으로 더 많은 문제를 풀어보며 실력을 쌓아나가길 바랍니다.

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스택으로 오름차순 수열 만들기

작성일: 2023년 10월 10일

작성자: 알고리즘 강사

문제 설명

주어진 정수 N에 대해, 1부터 N까지의 수를 스택을 사용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수열을 만드세요. 당신은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습니다:

  • 스택에 1부터 N까지의 수를 차례로 푸시(push)합니다.
  •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값을 팝(pop)하여 출력합니다.

입력으로는 두 개의 숫자를 받습니다:

  • 정수 N (1 <= N <= 100,000)
  • 정수 K (1 <= K <= N)

출력으로는 K개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출력합니다. 스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어진 입력 수를 적절히 스택에 넣고 뺄 수 있습니다. 당신의 목표는 스택의 동작을 사용하여 오름차순의 수열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문제 접근 방법

이 문제는 스택의 Last-In-First-Out(LIFO) 특성을 활용하여 주어진 수를 오름차순으로 출력하는 문제입니다. 우선 1부터 N까지의 숫자를 스택에 푸시한 후, 필요한 수를 순서대로 팝하여 출력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주의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이 있습니다:

  • 스택에 푸시할 수 있는 수는 1부터 N까지입니다.
  • 스택에서 팝할 때는 항상 스택의 최상단에 있는 수부터 팝해야 합니다.
  •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수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야 합니다.

알고리즘 구현

이제 문제 접근 방법을 기반으로 알고리즘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알고리즘의 기본 로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N까지의 수를 차례로 스택에 푸시
  2. 스택에서 최상단의 수를 팝하며 원하는 수 K개를 출력

다음은 이를 파이썬으로 구현한 코드입니다:


def create_sorted_sequence(N, K):
    stack = []
    result = []
    num = 1
    
    for i in range(N):
        while num <= N:
            stack.append(num)
            num += 1
        
        if stack:  # 스택이 비어있지 않으면
            result.append(stack.pop())
        
        if len(result) == K:  # K개의 수가 출력되면 종료
            break
            
    return result

# 입력 예시
N = 5
K = 3
output = create_sorted_sequence(N, K)
print("오름차순 수열:", output)

            

위의 함수 create_sorted_sequence(N, K)는 N과 K를 입력으로 받아 K개의 오름차순 수열을 생성하는 함수입니다. 스택을 사용하여 수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팝하여 결과 배열에 추가합니다.

코드 설명

코드의 각 부분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스택과 결과 배열 초기화:

    stack = []result = []를 사용하여 빈 스택과 결과 배열을 초기화합니다.

  2. 수 푸시 로직:

    while num <= N: 조건을 활용하여 1부터 N까지 수를 스택에 푸시합니다. num 변수를 통해 다음에 푸시할 수를 결정합니다.

  3. 수 팝 로직:

    if stack:를 사용하여 스택이 비어있지 않을 경우 최상단의 수를 팝하여 결과 배열에 추가합니다.

  4. K개 출력 조건:

    if len(result) == K: 조건을 체크하여 출력할 수의 개수가 K에 도달하면 반복문을 종료합니다.

시간 복잡도

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스택에 수를 푸시하는 과정: O(N)
  • 스택에서 K개를 팝하는 과정: O(K)

따라서 전체 시간 복잡도는 O(N + K)입니다. 이는 효율적인 접근 방법이며, 충분히 빠르게 동작합니다.

결론

스택을 사용하여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문제는 창의적이고 체계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한 문제입니다. 이 강좌를 통해 스택의 기본 원리와 이를 활용한 문제 해결 방법을 배웠습니다. 앞으로도 더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를 풀어보며 실력을 향상시키시길 바랍니다.

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순열의 순서 구하기

문제 설명

주어진 숫자 N이 있을 때, 1부터 N까지의 숫자로 이루어진 모든 순열을 생성하여, 특정한 순열의 순서를 찾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N=3 인 경우, 가능한 순열은 [1, 2, 3], [1, 3, 2], [2, 1, 3], [2, 3, 1], [3, 1, 2], [3, 2, 1]로 총 6개가 있으며, 각 순열의 인덱스를 1부터 시작하는 경우에 대한 위치를 찾는 것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입력을 받습니다:

  • N: 순열을 구성할 숫자의 개수
  • P: 특정한 순열 (리스트 형식으로 주어짐)

여기서, 출력은 주어진 순열 P의 순서입니다.

예제 입력 및 출력

입력

3
[2, 3, 1]
            

출력

4
            

위의 경우, 주어진 순열 [2, 3, 1]은 총 6개의 순열 중 4번째 순열입니다.

문제 해결 과정

1. 순열 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파이썬의 itertools 모듈의 permutations 함수를 사용하여 1부터 N까지의 모든 순열을 생성할 것입니다. permutations 함수는 주어진 iterable의 모든 순열을 반환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2. 리스트로 정렬하기

생성된 순열들을 리스트에 담고 정렬된 형태로 유지합니다. 이는 순열을 1부터 시작하는 인덱스로 빠르게 찾기 위함입니다.

3. 특정 순열의 인덱스 찾기

주어진 특정 순열을 리스트에서 검색하여 그 인덱스를 찾습니다. 인덱스는 0부터 시작되므로, 출력 시 1을 더해줍니다.

파이썬 코드 구현

이제 위에서 설명한 접근 방식을 바탕으로 파이썬 코드를 구현해 보겠습니다:


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def find_permutation_index(N, P):
    # 1부터 N까지의 숫자를 가진 리스트 생성
    numbers = list(range(1, N+1))
    
    # 모든 순열 생성
    all_permutations = list(permutations(numbers))

    # 특정 순열의 인덱스 찾기
    index = all_permutations.index(tuple(P)) + 1  # 1을 더해주어 1부터 시작하는 인덱스를 맞춤
    return index

# 예제 실행
N = 3
P = [2, 3, 1]
print(find_permutation_index(N, P))
            

위의 코드는 find_permutation_index 함수를 정의하여, 주어진 N과 P에 대해 특정 순열의 인덱스를 찾습니다. 우리는 itertools 모듈을 활용하여 모든 순열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index 메서드를 통해 해당 순열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복잡도 분석

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생성하는 순열의 개수인 N!에 비례합니다. 이는 비효율적인 접근 방법일 수 있으나, N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사용하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방법입니다. 하지만, 큰 N에 대해서는 효율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개선된 접근 방식

예를 들어, 수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각 숫자에 대한 카운트를 수집하고, 특정 숫자가 몇 개의 조합을 생성할 수 있는지를 차근차근히 계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것은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이 강좌를 통해 순열의 순서를 구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파이썬의 itertools 모듈을 활용하여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으니, 실제 문제에 적용해보면서 더 깊이 이해해보시길 바랍니다.

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숫자의 합 구하기

안녕하세요! 이번 코딩테스트 강좌에서는 파이썬을 이용한 숫자의 합 구하기 문제를 다뤄보겠습니다. 이 문제는 알고리즘 문제 풀이에서 자주 등장하는 기본적인 유형으로, 기본적인 입력 처리와 반복문을 이용한 계산을 연습하는 데 유용합니다.

문제 설명

주어진 정수 N에 대해 1부터 N까지의 모든 정수의 합을 구하는 함수 sum_numbers(N)을 작성하시오. 또한, 사용자가 N의 값을 입력하도록 하고 해당 값에 대한 합을 출력해야 합니다.

입력

  • 정수 N (1 ≤ N ≤ 10000)

출력

  • 1부터 N까지의 모든 정수의 합

예제

입력 예시

5

출력 예시

15

문제 풀이 과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의 단계를 거칠 것입니다.

1. 문제 이해하기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접근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부터 N까지의 정수의 합을 구해야 하며, 이 작업은 반복문이나 수학적 공식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복문을 사용하면 각 수를 더해가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수학적인 공식을 사용하면 좀 더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2. 수학적 접근

1부터 N까지의 정수의 합은 수학적으로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합 = N * (N + 1) / 2

이 공식은 모든 정수를 더하는 대신에, 미리 정의된 수학적 공식으로 O(1) 시간 복잡도로 결과를 구할 수 있습니다.

3. 파이썬 코드 구현하기

이제 이 문제를 파이썬 코드로 구현해보겠습니다. 두 가지 방법으로 구현할 예정입니다: 반복문을 이용한 방법과 수학공식을 이용한 방법.

방법 1: 반복문 이용하기


def sum_numbers_loop(N):
    total = 0
    for i in range(1, N + 1):
        total += i
    return total

# 사용자 입력 받기
N = int(input("정수를 입력하세요 (1 ≤ N ≤ 10000): "))
result = sum_numbers_loop(N)
print("1부터", N, "까지의 합은:", result)

방법 2: 수학적 공식을 이용하기


def sum_numbers_formula(N):
    return N * (N + 1) // 2

# 사용자 입력 받기
N = int(input("정수를 입력하세요 (1 ≤ N ≤ 10000): "))
result = sum_numbers_formula(N)
print("1부터", N, "까지의 합은:", result)

4. 테스트 및 예외 처리

작성한 함수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여러 가지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합니다. 예를 들어, N의 경계값(1과 10000) 및 일반적인 값들을 테스트해 볼 수 있습니다.

테스트 케이스

  • 입력: 1, 출력: 1
  • 입력: 5, 출력: 15 (1+2+3+4+5)
  • 입력: 10000, 출력: 50005000 (1+2+…+10000)

이 외에도 다양한 입력을 통해 함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5. 복잡도 분석

각 방법의 시간 복잡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반복문 이용: O(N) – N이 클수록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수학적 공식 이용: O(1) – 훨씬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결론

이번 강좌에서는 파이썬으로 숫자의 합 구하기 문제를 해결하는 두 가지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반복문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수학적인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문제를 통해 코딩 기초를 다지고, 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준비를 하시길 바랍니다.

추가 학습 자료

  • Baekjoon Online Judge –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를 풀어볼 수 있는 플랫폼
  • Programmers – 면접 대비 알고리즘 문제 및 해설
  • Codewars – 문제를 풀며 실력을 쌓을 수 있는 웹사이트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를 통해 실력을 쌓아가시길 바랍니다. 다음 강좌에서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