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배열과 리스트

이 글에서는 알고리즘 문제를 통해 배열과 리스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배열과 리스트를 다룰 때 유용한 다양한 기법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배열과 리스트는 데이터 구조 중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부분으로,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됩니다. 본 강좌에서는 알고리즘 문제 하나를 선정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할 것입니다.

문제 설명

다음은 “주어진 배열에서 특정 숫자 쌍을 찾는 문제”입니다.

문제: 두 수의 합 (Two Sum)

주어진 정수 배열 nums와 정수 target이 주어질 때,
배열에서 두 수의 합이 target이 되는 두 수의 인덱스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세요.

예를 들어, nums = [2, 7, 11, 15]이고 target = 9인 경우,
반환해야 할 결과는 [0, 1]입니다. (2 + 7 = 9)

문제 접근 방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접근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브루트 포스 (Brute Force) 방법: 두 개의 중첩된 루프를 사용하여 모든 쌍의 합을 확인합니다. 이는 O(n^2)의 시간 복잡도를 가집니다.
  2. 해시 맵 (HashMap) 사용: 숫자를 순회하면서 해시 맵에 현재 숫자의 인덱스를 저장하고, target - 현재 숫자가 해시 맵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합니다. 이는 O(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집니다.

해결 방법

두 번째 방법인 해시 맵을 사용하는 방법이 더 효율적이므로 이 방법을 사용하여 해결해 보겠습니다.
먼저, 주어진 배열과 타겟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라 진행합니다:

1단계: 초기화

빈 해시 맵을 초기화하고 배열을 순회하면서 두 수의 합을 찾기 위한 변수를 설정합니다.

2단계: 숫자 순회

배열의 각 숫자를 확인하면서, 먼저 현재 숫자의 보수가 해시 맵에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만약 있다면 그 인덱스를 결과로 반환합니다. 없다면 현재 숫자와 그 인덱스를 해시 맵에 추가합니다.

3단계: 결과 반환

모든 숫자를 순회한 후, 합이 target인 두 수를 찾지 못했다면 이는 문제의 요구 사항에 맞지 않습니다.

코드 구현

위의 접근 방법을 코드로 구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def two_sum(nums, target):
    num_map = {}
    for index, num in enumerate(nums):
        complement = target - num
        if complement in num_map:
            return [num_map[complement], index]
        num_map[num] = index
    return []
    

코드 설명

위 코드에서 two_sum 함수는 두 매개변수 numstarget을 입력받습니다.
num_map이라는 빈 해시 맵을 초기화하고, enumerate 함수를 사용하여 nums를 순회합니다.

각 숫자에 대해 complement를 계산하고 해시 맵에서 그 값을 찾습니다.
만약 찾는다면 해당 인덱스와 현재 인덱스를 리스트에 담아 반환합니다.
끝까지 찾지 못했다면 빈 리스트를 반환합니다.

복잡도 분석

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n)이며, 공간 복잡도는 O(n)입니다.
이는 해시 맵에 저장된 모든 숫자와 인덱스 때문입니다.
이 방법은 주어진 배열에서 원하는 쌍을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결론

배열과 리스트는 데이터 처리의 기본 요소이며,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두 수의 합” 문제를 통해 배열의 인덱스를 탐색하고 해시 맵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실제 코딩 테스트 상황에서 시간을 절약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알고리즘 문제를 통해 배열, 리스트, 해시 맵 등 데이터 구조에 대한 이해를 깊이 있게 다질 예정입니다.
지속적인 연습과 문제 풀이를 통해 더욱 숙련된 코더가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미로 탐색하기

1. 문제 정의

Given a maze represented as a 2D grid, we need to find the shortest path from the start point (S) to the end point (E). The maze consists of open paths (represented by 0) and walls (represented by 1). This is a classic problem that can be solved using graph traversal techniques such as Breadth-First Search (BFS).

2. 문제 설명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미로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0, 0, 1, 0, 0],
        [0, 0, 1, 0, 1],
        [1, 0, 0, 0, 0],
        [0, 1, 1, 1, 0],
        [0, 0, 0, 1, 0],
    ]
    

여기서 S는 시작점(0,0)이고, E는 도착점(4,4)입니다. 0은 이동 가능한 경로를, 1은 벽을 나타냅니다. 이 미로에서 S에서 E로 가는 가장 짧은 경로를 찾아야 합니다.

3. 알고리즘 선정

미로 탐색 문제는 여러 알고리즘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가장 적합한 알고리즘은 BFS입니다. BFS는 일단의 노드에서 시작하여 인접한 노드를 탐색하면서 최단 경로를 보장합니다. 이는 미로의 지형이 격자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 이상적인 선택입니다.

4. 문제 해결 과정

4.1 BFS 알고리즘 설명

BFS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됩니다:

  1. 시작 노드를 큐에 추가하고 방문 표시를 합니다.
  2. 큐에서 노드를 하나씩 꺼내어 인접한 노드들을 탐색합니다.
  3. 인접한 노드가 목적지 이거나 방문하지 않은 노드인 경우, 큐에 추가하고 방문 표시를 합니다.
  4. 목적지에 도착하면 탐색을 종료하고 경로를 반환합니다.

4.2 코드 구현

아래는 BFS 알고리즘을 이용한 미로 탐색 코드입니다:

def min_steps_in_maze(maze):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Directions for moving in the maze
    directions = [(0, 1), (1, 0), (0, -1), (-1, 0)]
    
    rows, cols = len(maze), len(maze[0])
    start = (0, 0)  # Start point
    end = (rows - 1, cols - 1)  # End point
    
    # Initialize the queue for BFS
    queue = deque([(start, 0)])  # (position, current steps)
    visited = set()  # To keep track of visited cells
    visited.add(start)
    
    while queue:
        current_position, steps = queue.popleft()
        
        # Check if we reached the end
        if current_position == end:
            return steps
        
        for direction in directions:
            new_row = current_position[0] + direction[0]
            new_col = current_position[1] + direction[1]
            new_position = (new_row, new_col)
            
            # Check if the new position is valid and not visited
            if 0 <= new_row < rows and 0 <= new_col < cols and \
               maze[new_row][new_col] == 0 and new_position not in visited:
                
                visited.add(new_position)
                queue.append((new_position, steps + 1))
    
    return -1  # Return -1 if there is no path
    

4.3 코드 설명

위의 코드에서:

  • deque을 사용하여 BFS 큐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 상하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방향을 정의하고 각 노드의 위치와 현재 단계를 큐에 추가합니다.
  • 방문한 노드는 집합 visited에 추가하여 중복 방문을 방지합니다.
  • 목적지에 도착하면 현재 단계를 반환하고, 도착할 수 없는 경우 -1을 반환합니다.

5. 성능 분석

BFS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V + E)입니다. 여기서 V는 노드의 개수, E는 간선의 개수입니다. 격자형 미로의 경우, V는 n*m(행 x 열)로 계산되고 E는 이웃 노드의 수에 비례하므로 BFS는 매우 효율적인 탐색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6.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모든 경로가 열려있는 경우(단순한 미로)
  • 벽으로 가득 찬 미로
  • 시작점과 도착점이 인접해 있는 경우
  • 복잡한 미로 구조

6.1 테스트 케이스 예

print(min_steps_in_maze([
    [0, 0, 1, 0, 0],
    [0, 0, 1, 0, 1],
    [1, 0, 0, 0, 0],
    [0, 1, 1, 1, 0],
    [0, 0, 0, 1, 0],
]))  # Output: 8
    

7. 결론

미로 탐색 문제는 BFS 알고리즘을 통해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코드 구현과 함께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를 통해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검증하였습니다. 알고리즘의 이해뿐만 아니라, 실제 알고리즘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8. 추가 질문

여기에 추가할 질문이나 내용이 있을 경우 아래의 댓글을 통해 남겨주세요.

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문자열 찾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코딩테스트 준비를 위한 문자열 찾기 문제를 다뤄보겠습니다. 문자열 찾기 문제는 기본적으로 문자열에서 특정 패턴이나 서브 문자열을 찾는 알고리즘 문제입니다. 이러한 문제는 효율성, 정확성, 그리고 다양한 방법론을 테스트하여 실제 코딩테스트 상황에서 어떻게 접근할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 설명

당신은 문자열 s와 문자열 t가 주어졌을 때, 문자열 s에서 문자열 t가 몇 번 등장하는지 계산하는 함수를 작성해야 합니다. 이때, 문자열 t가 겹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예제 입력:

    s = "abababab"
    t = "aba"
    

예제 출력:

    4
    

문제 접근 방법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접근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슬라이딩 윈도우 방법: 문자열을 슬라이딩 윈도우처럼 이동하면서 탐색할 수 있습니다.
  • 문자열 탐색 알고리즘: KMP 알고리즘과 같은 문자열 탐색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딩 윈도우 접근

슬라이딩 윈도우 방법을 이용하여 이 문제를 푸는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이 방법은 단순하지만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딩 윈도우 방법의 기본 아이디어는 주어진 문자열 s를 탐색하며 각 위치에서 문자열 t와 비교하는 것입니다. 대략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변수 count를 초기화하여 발견된 패턴의 개수를 저장합니다.
  2. 문자열 s의 각 인덱스에서 반복문을 실행합니다.
  3. 각 반복에서, 문자열 s의 현재 인덱스부터 len(t) 만큼의 부분 문자열을 가져옵니다.
  4. 가져온 부분 문자열과 t를 비교합니다.
  5. 일치할 경우 count를 증가시킵니다.
  6. 문자열 s의 모든 인덱스를 탐색한 후 count를 반환합니다.

파이썬 코드 구현

위의 접근 법을 바탕으로 Python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def count_occurrences(s, t):
    count = 0
    t_len = len(t)
    s_len = len(s)

    for i in range(s_len - t_len + 1):
        if s[i:i + t_len] == t:
            count += 1

    return count

# 예시 테스트
s = "abababab"
t = "aba"
result = count_occurrences(s, t)
print("문자열 '{}'에서 '{}'의 등장 횟수: {}".format(s, t, result))
    

시간 복잡도 분석

위의 코드에서 가장 큰 O(n * m)이라는 시간 복잡도를 가지며, 여기서 n은 문자열 s의 길이, m은 문자열 t의 길이입니다. 그러나 이 구현은 단순한 문자열 비교를 기반으로 하므로 최악의 성능을 가질 수 있습니다.

KMP 알고리즘을 이용한 해결 방법

슬라이딩 윈도우 방법 이외에도, KMP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 문제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KMP 알고리즘은 문자열을 한 번만 탐색하여 패턴 일치를 찾는 선형 시간 알고리즘입니다. 이 알고리즘의 핵심은 패턴에 대한 접두사와 접미사의 정보를 미리 계산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패턴을 조금 더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KMP 알고리즘의 기본 단계

  1. 패턴 t에 대한 LPS (Longest Prefix Suffix) 배열을 생성합니다.
  2. 문자열 s를 탐색하면서 LPS 배열을 참조하여, 문자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몇 칸을 건너뛰어야 하는지 결정합니다.
  3. 모든 패턴의 일치를 추적합니다.

LPS 배열 생성 함수

LPS 배열을 생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함수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def compute_lps(pattern):
    length = 0
    lps = [0] * len(pattern)
    i = 1

    while i < len(pattern):
        if pattern[i] == pattern[length]:
            length += 1
            lps[i] = length
            i += 1
        else:
            if length != 0:
                length = lps[length-1]
            else:
                lps[i] = 0
                i += 1
    return lps
    

KMP 알고리즘 구현

이제 KMP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실제 문자열 찾기 코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def kmp_search(s, t):
    lps = compute_lps(t)
    count = 0
    i = 0  # 문자열 s의 인덱스
    j = 0  # 패턴 t의 인덱스

    while i < len(s):
        if s[i] == t[j]:
            i += 1
            j += 1

        if j == len(t):
            count += 1
            j = lps[j-1]
        elif i < len(s) and s[i] != t[j]:  # 매치 실패
            if j != 0:
                j = lps[j-1]
            else:
                i += 1

    return count

# 예시 테스트
s = "abababab"
t = "aba"
result = kmp_search(s, t)
print("문자열 '{}'에서 '{}'의 등장 횟수: {}".format(s, t, result))
    

결론

오늘 우리는 문자열 찾기 문제를 슬라이딩 윈도우와 KMP 알고리즘을 통해 해결해보았습니다. 슬라이딩 윈도우 방법은 직관적이고 간단하지만, KMP 알고리즘은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코딩테스트에서 좋은 성적을 얻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여러분들도 다양한 문제를 통해 이러한 알고리즘을 익히셔서 코딩테스트에 자신감을 가지시길 바랍니다!

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물의 양 구하기

코딩 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되는 문제 중 하나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물의 양”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이를 통해 파이썬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과 알고리즘적 사고의 중요성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문제 설명

여러분은 한개의 수조에서 물의 양을 계산해야 합니다. 수조의 높이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height가 주어졌습니다. 수조는 수평으로 배열된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블록의 높이는 height[i]로 표현됩니다.

비가 내린 후, 각 블록 사이에 고인 물의 양을 계산하는 함수를 만들고, 총 고인 물의 양을 반환해야 합니다.

입력

  • height: 양의 정수로 이루어진 리스트. (1 ≤ height.length ≤ 2 * 10^4, 0 ≤ height[i] ≤ 10^5)

출력

  • 고인 물의 총 양을 나타내는 정수

예제

예제 1

입력: height = [0,1,0,2,1,0,1,3,2,1,2,1]
출력: 6

설명: 고인 물의 양은 6입니다.

예제 2

입력: height = [4,2,0,3,2,5]
출력: 9

설명: 고인 물의 양은 9입니다.

문제 해결 접근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주요 포인트를 이해해야 합니다:

  1. 어떤 위치 i에서 고인 물의 양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i 위치의 좌우 최대 높이를 알아야 합니다.
  2. 각 위치에서 고인 물의 양은 min(왼쪽 최대 높이, 오른쪽 최대 높이) - 현재 높이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두 개의 배열을 생성할 것입니다. 하나는 왼쪽에서부터 각 위치의 최대 높이를 저장하고, 다른 하나는 오른쪽은 최대 높이를 저장합니다.

코드 구현

이제 이를 바탕으로 실제 코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def trap(height):
    if not height:
        return 0

    n = len(height)
    left_max = [0] * n
    right_max = [0] * n

    # 왼쪽 최대 높이 계산
    left_max[0] = height[0]
    for i in range(1, n):
        left_max[i] = max(left_max[i - 1], height[i])

    # 오른쪽 최대 높이 계산
    right_max[n - 1] = height[n - 1]
    for i in range(n - 2, -1, -1):
        right_max[i] = max(right_max[i + 1], height[i])

    # 고인 물의 양 계산
    water_trapped = 0
    for i in range(n):
        water_trapped += min(left_max[i], right_max[i]) - height[i]

    return water_trapped

# 예제 실행
print(trap([0, 1, 0, 2, 1, 0, 1, 3, 2, 1, 2, 1]))  # 출력: 6
print(trap([4, 2, 0, 3, 2, 5]))  # 출력: 9

코드 설명

1. trap(height): 이 함수에서는 물을 trap(포획)하는 양을 계산합니다.
2. 입력으로 height 리스트를 받고, 이를 통해 물의 양을 계산합니다.
3. 빈 리스트인 경우 0을 반환합니다.
4. 각 인덱스에서 왼쪽 최대 높이를 계산하고, 오른쪽 최대 높이를 계산합니다.
5. 마지막으로 각 위치에서 저장된 최대 높이와 현재 높이를 통해 고인 물의 양을 계산합니다.

시간 복잡도 분석

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n)입니다. 두 개의 배열을 만들어 각각의 최대 높이를 계산하는 데 O(n) 시간이 소요되며, 다시 반복적으로 고인 물의 양을 측정하는 데 O(n) 시간이 필요합니다.

모든 단계를 합치면 총 O(n)입니다.

결론

이번 강좌에서는 물의 양을 구하는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학습해보았습니다. 이 문제는 알고리즘 문제 풀이의 대표적인 예로, 다양한 변형이 존재합니다. 여러분들도 이와 유사한 문제를 연습하면서 코드 작성 능력을 향상시키기 바랍니다.

추가 연습 문제

다음과 같은 변형 문제를 연습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 주어진 높이 배열에서 가장 많은 물이 고이는 위치는 어디인지 구하기
  •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 즉 모든 위치의 높이가 같은 경우를 처리하기
  • 물의 흐름이 있을 때(즉, 각 블록의 물이 인접한 블록으로 흘러갈 수 있을 때)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기

파이썬 코딩테스트 강좌, 리프 노드의 개수 구하기

이번 강좌에서는 이진 트리에서 리프 노드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를 다룹니다. 이 문제는 많은 코딩 인터뷰에서 자주 출제되는 주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트리 구조와 재귀 함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문제 설명

주어진 이진 트리를 탐색하여 리프 노드의 개수를 계산하는 함수를 작성하세요. 리프 노드는 자식 노드가 없는 노드를 의미합니다.

입력

  • 트리의 루트를 나타내는 노드 객체, Node 클래스가 주어집니다.

출력

  • 리프 노드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값

제한 사항

  • 트리는 최대 104개의 노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진 트리의 생성 및 구조

이진 트리는 각 노드가 최대 두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질 수 있는 자료 구조입니다. 기본적으로 이진 트리는 루트 노드에서 시작하여 자식 노드로 구성됩니다. 아래는 이진 트리의 노드 클래스를 정의하는 방법입니다.


class Node:
    def __init__(self, value):
        self.value = value
        self.left = None
        self.right = None

위의 코드에서, Node 클래스는 각 노드의 값을 저장하고 왼쪽 및 오른쪽 자식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포함합니다. 이제 이 노드 구조를 사용하여 이진 트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리프 노드 개수 세기

리프 노드는 자식 노드가 없는 노드를 의미하며, 이를 세기 위해서는 트리를 탐색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진 트리를 탐색하는 방법으로는 전위, 중위, 후위 순회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후위 순회를 사용하여 리프 노드를 세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후위 순회 알고리즘

후위 순회는 다음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1. 왼쪽 서브트리를 후위 순회합니다.
  2. 오른쪽 서브트리를 후위 순회합니다.
  3. 현재 노드를 방문합니다.

이 과정을 이용하여 부모 노드가 리프 노드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프 노드인 경우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리프 노드의 개수를 셉니다.

코드 구현


def count_leaf_nodes(root):
    if root is None:
        return 0
    if root.left is None and root.right is None:
        return 1
    return count_leaf_nodes(root.left) + count_leaf_nodes(root.right)

위의 count_leaf_nodes 함수는 재귀적으로 이진 트리를 탐색하여 리프 노드 수를 계산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상세 설명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단계: 기본적인 트리 생성

이진 트리를 생성하기 위해 몇 개의 노드를 정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트리를 생각해보겠습니다.


# 이진 트리 생성
root = Node(1)
root.left = Node(2)
root.right = Node(3)
root.left.left = Node(4)
root.left.right = Node(5)
root.right.left = Node(6)

위 코드는 다음과 같은 이진 트리를 구성합니다:

이진 트리 구조

2단계: 기본 함수 테스트

이제 우리가 작성한 count_leaf_nodes 함수를 사용하여 리프 노드의 개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leaf_count = count_leaf_nodes(root)
print(f"리프 노드의 개수: {leaf_count}")

위 코드를 실행하면 이진 트리에 존재하는 리프 노드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여기서는 리프 노드가 3개(4, 5, 6)이므로 출력 결과는 “리프 노드의 개수: 3″이 됩니다.

시간 복잡도 분석

위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는 O(n)입니다. 이는 트리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를 방문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n은 노드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결론

오늘의 강좌에서는 이진 트리에서 리프 노드의 개수를 계산하는 문제를 다뤘습니다. 이 과정에서 재귀적인 접근 방식과 후위 순회의 개념을 적용했습니다. 이 문제는 코딩 테스트와 실제 개발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문제이므로 꼭 이해하고 넘어가시기 바랍니다.

다음 강좌에서는 이진 트리를 더욱 깊이 있게 탐구하고, 다양한 트리 문제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